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웃자고 보낸 이모티콘…꼰대 취급 당했습니다"

이모티콘이 세대에 따라 다르게 해석되면서 오해를 불러올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게티이미지뱅크
이모티콘이 세대에 따라 다르게 해석되면서 오해를 불러올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게티이미지뱅크

우리가 아무 생각 없이 보내는 이모티콘.
우리가 아무 생각 없이 보내는 이모티콘.
Z세대한테는 전혀 다르게 받아들여질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기분 좋으라고 보낸 건데…"


기성세대한테는 '웃는 얼굴' 이모티콘은 "좋아요!", "기분 좋아요!" 같은

순수한 긍정 표현으로 받아들여져요.

하지만 Z세대(1997년~2006년 태어난 세대)는 그렇게 받아들이지 않습니다.


결국, 진심으로 웃었는데 비웃었다는 오해가 생길 수도 있다는 거예요.

최근 뉴욕포스트,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외신은

디지털 기술과 함께 자란 '디지털 원주민' 세대에게

이모티콘은 다양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기본 이모티콘(The ubiquitous emoji)

기본 이모티콘(The ubiquitous emoji)

원본보기 아이콘

뉴욕포스트는 "노란색 '스마일'은 30세 이하에게는 완전히 다른 의미"라며

"상대를 무시하거나 노골적으로 비꼬는 의미로 사용돼

상대에게 해당 이모티콘을 보낼 경우 기분을 상하게 할 수도 있다"고 짚었습니다.


WSJ도 "30대는 기본 이모티콘(The ubiquitous emoji)이

행복하다는 긍정적인 의미로 사용하는 반면

10대와 20대 초반의 연령대 사이에선

상대가 자신을 가르치려 드는 듯한

공격적인 의미로 해석한다"고 전했어요.


최근 외신은 디지털 기술과 함께 자란 '디지털 원주민' 세대에게 이모티콘은 다양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게티이미지뱅크

최근 외신은 디지털 기술과 함께 자란 '디지털 원주민' 세대에게 이모티콘은 다양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게티이미지뱅크

원본보기 아이콘


"회사에서 이모티콘 하나로 당황했어요"


미국 브루클린의 미디어회사에 다니는 21살 하피자트 비시는

월스트리트저널(WSJ)과의 인터뷰에서

"입사 초반에 동료에게 '웃는 얼굴' 이모티콘을 받고

무시당한 느낌이었다"고 말했어요.


그녀는 "기성세대는 그 이모티콘을 그냥 친근하게 웃는 표현으로 쓰지만,

Z세대는 그걸 진심 없는, 건성의 미소처럼 느낀다"고 덧붙였죠.


그래서 본인은 나이 많은 동료들과 톡할 때

스마일 이모티콘을 비꼬는 의미로 쓴다고 하네요.


왜 이렇게 다른 걸까요?


《디지털 바디랭귀지》의 저자 에리카 다완은

"30대 이상은 이모티콘을 글자 그대로 받아들이는 반면,

Z세대는 맥락·톤·타이밍까지 고려해 해석한다"고 말했어요.


그럼 어떻게 사용하는 것이 좋을까요?
엄지척 이모티콘은 보통 감사나 기쁨의 표현으로 쓰지만, Z세대는 냉소적인 어조로 활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반짝임(별) 이모티콘도 주의! 묘하게 비웃는 듯한 느낌을 준다네요. 참 어려운 Z세대!
그럼 어떻게 사용하는 것이 좋을까요?
웃는 얼굴 이모티콘은 기성세대에겐 긍정의 의미지만, Z세대에겐 비꼬거나 무시하는 뜻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어요.
엄지척 이모티콘은 보통 감사나 기쁨의 표현으로 쓰지만, Z세대는 냉소적인 어조로 활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반짝임(별) 이모티콘도 주의! 묘하게 비웃는 듯한 느낌을 준다네요. 참 어려운 Z세대!

이모티콘 하나에도 오해가 생기는 시대,

세대 간 표현의 차이를 이해하고

서로의 방식에 조금씩 익숙해지는 세상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top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