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만에 윤리위에 회부한 홍성표 아산시의장과 대비
"이재명은 안 되고 김행금은 되나?"라는 비판도 제기돼
휴일에 운전원을 대동해 관용차로 국민의힘 전당대회에 참석한 천안시의회 김행금 의장에 대해 민주당 소속 시의원 12명이 징계요구서를 제출했지만, 김행금 의장이 7일째 윤리위원회 회부 절차를 진행하지 않고 버티고 있어 논란이 커지고 있다.
윤리위 회부조차 불투명해지자 지역사회에선 같은 혐의로 재판 중인 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와의 형평성 논란으로까지 번지면서 "이재명은 안되고 김행금은 되나?"라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앞서 민주당 시의원들은 지난 9일 김행금 의장의 '관용차 사적 이용'과 '인사안 결재 거부'를 이유로 징계요구서를 의회사무국에 전달했고, 의사팀은 13일 이를 의장에게 보고했다.
하지만 김 의장은 보고받은 이후에도 윤리특위 회부 여부에 대해 아무런 공식 입장을 내지 않고 있다.
또 본회의 개최를 위해선 운영위원회를 열어야 하지만 운영위원장은 지난 19일 "안건이 올라온 적 없다"라고 밝히고 있다.
천안시의회 회의 규칙에 따르면, 의장은 징계요구서를 접수한 경우 지체 없이 윤리특별위원회에 회부해야 하며, 임의로 보류하거나 거부할 재량은 없다.
박종갑 민주당 원내대표는 "의장이 징계요구서를 고의로 회부하지 않는다면 직무유기 또는 직권남용으로 간주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와 같은 '버티기' 행보는 인접 지자체 사례와도 극명한 차이를 보인다.
음주로 물의를 빚은 아산시의회 홍성표 의장은 올해 1월 22일 징계요구서를 접수한 다음 날인 23일, 본회의를 통해 스스로 자신을 윤리특위에 회부한 바 있다.
단 하루 만에 절차를 밟은 아산시 사례와 달리 김 의장은 논란이 커진 뒤에야 사과문을 발표했다.
김 의장은 전당대회 당시 "정보 수집 목적의 공무수행이었다"고 해명했지만 운전 직원은 공식 출장으로 처리돼 수당과 여비 지급이 예정돼 있다.
관용차 운행에 따른 유류비 등은 의회 예산으로 집행됐으며 식사비 등은 사비라고 주장했지만, 업무추진비 사용 내역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아울러 인사 관련 논란도 계속되고 있다. 김 의장은 1월 인사위원회에서 승진 의결된 A직원을 두고 "젊어서 안 된다"며 결재를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고, 해당 직원은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을 제기했다.
감사원은 이 사안에 대해 절차상 문제가 없다고 결론을 내렸지만 김 의장은 4개월 넘게 인사 결재를 보류 중이다.
의회사무국은 행정안전부 질의 결과를 바탕으로 인사위 재개 여부를 검토 중이지만 이미 의결된 안건을 다시 심사할 경우 또 다른 법적 다툼으로 비화할 가능성도 있다.
이와 관련해 두정동에 거주하는 시민(52)은 "왜 내 세금으로 관용차를 써서 국민의힘 전당대회를 갔는지 모르겠다"라면서 "이재명은 관용차를 사적으로 이용했다고 재판도 받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형평성에 문제가 있다"라고 지적했다.
충청취재본부 박종혁 기자 whdgur353@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