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덥수룩한 수염, 변기보다 더럽다며 피했는데…전문가들의 반전 답변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피부엔 미생물 가득…모두 해로운 건 아냐"
"수염, 타인에 감염 위험 증가시키지 않아"

수염 속 다양한 미생물이 존재하지만, 화장실 변기보다 더 비위생적이라는 주장은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나왔다.


수염이 변기보다 비위생적이라는 주장은 과학적 근거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픽사베이

수염이 변기보다 비위생적이라는 주장은 과학적 근거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픽사베이

AD
원본보기 아이콘

최근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각 분야 전문가들은 "콧수염이나 수염이 변기보다 세균이 더 많을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밝혔다.

보도에 따르면 수염이 질병의 잠재적 매개체라는 인식은 약 60년 전부터 있었다. 1967년 한 연구에서 미생물학자 마누엘 S. 바르베이토 등이 연구진들의 연구 참여자들에게 수염에 박테리아를 뿌렸고, 비누와 물로 씻은 후에도 박테리아가 남아 있음을 발견했다. 이후 수염 속 박테리아와 변기에 있는 박테리아를 비교하는 연구가 진행되면서 수염이 비위생적이라는 인식이 확산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수염 속 박테리아와 바이러스에 민감하게 반응할 필요는 없다고 봤다. 샤리 리프너 미국 웨일 코넬 의대의 임상 피부과 부교수는 사람의 피부에는 박테리아, 바이러스, 곰팡이 등 미생물이 가득하고, 심지어 속눈썹에도 진드기가 서식한다며 "모든 미생물이 해로운 것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킴벌리 데이비스 미국 존스홉킨스 블룸버그 공중보건대학원의 분자 미생물학 및 면역학 부교수도 "우리 몸 전체에 박테리아가 있듯 수염에도 박테리아가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미생물은 상처, 궤양 또는 기타 피부 손상을 통해 체내에 침투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며 "이러한(침투하는) 경우에도 우리 몸은 미생물을 조절하고 제거할 수 있다"고 부연했다.

다만 의료 환경에서는 수염이 문제가 될 수 있다. 앞서 한 소규모 연구를 통해 의료용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수염이 있는 남성이 깨끗이 면도한 남성보다 더 많은 박테리아를 배출할 가능성이 있다는 결과가 확인된 바 있다.


그럼에도 400명 이상의 남성 의료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다른 연구에서는 수염이 있는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더 많은 세균을 보유하고 있다는 근거는 발견되지 않았다. 오히려 면도 과정에서 발생하는 피부 미세 손상이 병원성 세균을 더 잘 옮길 수 있다는 결과도 있었다.


윌리엄 샤프너 미국 벨더빌트 대학의 교수는 "턱수염이나 콧수염을 기른 신사가 연인을 포함한 누구에게도 감염 위험을 증가시키지 않는다는 걸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윤슬기 기자 seul97@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