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연구진, 물에 오래 있으면 생기는 주름
늘 같은 형태로 나타나는지 주목해 연구
"주름 형태 일관돼…법의학에 활용 기대"
장시간 물에 들어가 있는 경우 손가락에 생기는 주름이 매번 같은 모습을 보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의 과학 전문 매체 라이브사이언스는 지난 14일(현지시간) "가이 저먼 빙햄튼 대학교 생체의학 부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이 국제 학술지 '생체 재료의 기계적 행동 저널(Journal of the Mechanical behavior of Biomedical Materials)'에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누구나 한 번쯤은 물속에 오래 있다 보면 퉁퉁 분 것처럼 손가락 끝이 주름지는 모습을 경험한 적이 있다. 과거에는 이 현상이 물에 불어 생기는 단순한 피부 반응 정도로 여겨졌다. 그런데 선행 연구에 의해 이 같은 현상이 실제로는 자율신경계 작용으로 인한 것으로 밝혀졌다. 삼투압에 의해 땀구멍을 통해 손가락에 물이 유입되면 신경 섬유가 낮은 염분 수치 정보를 뇌로 보내고, 자율신경계가 혈관을 수축시키는 형태로 반응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것이다. 즉 혈관이 수축하면서 부피가 줄어든 것이다.
이번 연구를 이끈 저먼 부교수는 한 학생으로부터 '주름이 항상 같은 패턴으로 생기느냐'는 질문을 받았다고 한다. 그는 주름을 형성하는 혈관이 손가락 안에서 움직이지 않아서 매번 같을 것이라고 추측해왔는데, 학생이 던진 물음에 이 가설을 직접 검증하기로 했다. 그간 손가락이 주름지는 이유에 대해서는 연구가 이뤄졌지만, 주름이 형성되는 모양에 대해서는 연구되지 않았다는 점에 주목했다.
연구진은 피험자 3명의 손을 30분간 물에 담그고 손가락 끝에 주름이 생기는 모습을 사진으로 기록했다. 24시간 후, 동일한 조건에서 이 과정을 반복하고 사진을 서로 비교 분석했다. 그러자 실험 참가자의 주름이 같은 패턴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이는 사람의 손이 물에 장시간 잠겨 있을 때 발생하는 주름 패턴이 여러 시점에서 반복해서 일어나고 일관적이라는 것을 처음으로 확실하게 밝혀낸 연구"라면서 "주름이 생기는 방향에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주름 형태가 일관적으로 유지된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저먼 교수는 "생체 인식과 지문이 뇌 안에 내장된 셈"이라며 "향후 법의학 조사 등에 활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다만 해당 연구는 3명의 실험 그룹만을 포함했기 때문에 향후 더 많은 사람을 대상으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아울러 손가락이 물속에 오래 있을 때 모양이 변하도록 진화한 이유까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여러 연구에서 손가락 주름이 젖은 환경에서 물체를 잡는 능력을 향상할 수 있다는 증거가 나왔으나, 다른 연구에서는 손가락에 주름이 있어도 잡는 능력이나 촉각적 예민함이 향상되지 않는다는 상반된 결과도 나온 상태로 알려졌다.
김성욱 기자 abc123@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그냥 가입 안 할게요" 1시간 설문에 녹취까지…잡음 끊임없는 금소법[금융혁신:성장을 설계하다]③](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32014290576491_1742448546.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