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세대의 비혼 출산 동의율 매년 증가
결혼하지 않고 자녀를 출산하는 '비혼 출산'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20~30대 남녀가 늘고 있다. 특히 여성의 비혼 출산 동의율 상승 폭이 남성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대통령 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의뢰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수행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20~30대의 비혼 출산 동의율은 매년 증가하고 있다.
여성정책연구원이 통계청 조사 등을 바탕으로 비혼 출산 동의율을 재구성한 결과, 20대 남성의 경우 비혼 출산 동의율이 2008년 32.4%에서 지난해 43.1%로 올랐다. 20대 여성도 28.4%에서 42.4%로 상승했다. 이 기간 20대의 비혼 출산 동의율 상승 폭은 여성(14%포인트)이 남성(10.7%포인트)보다 더 컸다.
30대의 경우 남성의 비혼 출산 동의율은 2008년 28.7%에서 지난해 43.3%로 올랐고, 여성도 같은 기간 23.9%에서 40.7%로 상승했다. 30대 역시 여성의 비혼 출산 동의율 상승 폭(16.8%포인트)이 남성(14.6%포인트)보다 컸다.
비혼 동거에 동의하는 의견도 늘었다. 20대 남성의 경우 2008년 67.2%만 비혼 동거에 찬성했지만, 지난해에는 81.1%가 가능하다고 응답했다. 20대 여성 역시 55.6%에서 81.0%로 올라 남성(13.9%포인트)보다 더 큰 변화 폭(25.4%포인트)을 보였다. 30대도 남성(58.0%→82.2%)보다 여성(50.1%→78.3%)의 비혼 동거 동의율 상승 폭이 뚜렷했다.
여성정책연구원 연구진은 "비혼 동거나 비혼 출산 동의율 자체는 아직 남성이 여성보다, 20대가 30대보다 높지만, 그 차이는 모두 감소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2022년 현재 우리나라의 비혼 출산율은 3.9%로, 같은 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의 평균 비혼 출산율(41.0%)과 비교하면 현저히 낮다. 다만 이듬해 4.7%로 소폭 올랐고, 점차 긍정적인 인식이 늘어감에 따라 정부는 비혼 출산을 저출생 해소의 한 대안으로 보고 정책적 지원 방안을 검토 중이다.
윤슬기 기자 seul97@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그냥 가입 안 할게요" 1시간 설문에 녹취까지…잡음 끊임없는 금소법[금융혁신:성장을 설계하다]③](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32014290576491_1742448546.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