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전국에서 가장 많은 45곳의 소아 야간·휴일 진료 기관을 운영하며 중증부터 경증까지 빈틈없는 진료 인프라를 구축했다.
19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대학병원의 소아 응급 진료 기피와 소아과 오픈런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관계기관과 전문가 의견수렴 등을 거쳐 지난해 '경기도 소아 야간·휴일 진료 개선 대책' 시행했다.
대책 시행 후 2021년 달빛어린이병원 5곳에 불과했던 경기도는 현재 소아 야간·휴일 진료 기관을 45곳으로 확대했다. 45곳을 세분화하면 소아 응급 책임의료기관 3곳, 달빛어린이병원 31곳, 취약지 소아 야간휴일 진료 기관 11곳 등이다.
이는 소아 환자의 증상 정도에 따라 중증도별로 진료 기관을 체계적으로 구축한 것으로 부족한 소아 의료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면서도 접근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는 게 경기도의 설명이다.
소아 응급 책임의료기관은 중증 소아 응급환자에 대한 24시간 응급실 전담 진료가 가능한 의료기관으로 경기도는 기존 분당차병원, 아주대병원에 이어 최근 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을 추가했다. 이에 따라 3개 책임의료기관이 경기 남북부 권역을 나눠 소아 응급환자를 담당하게 됐다.
밤에도 낮과 동일하게 소아 환자를 진료하는 달빛어린이병원 31곳은 평일 23시, 주말 18시까지 외래 진료를 담당한다. 2021년 12만 건이었던 달빛어린이병원 야간·휴일 진료 건수는 2024년 105만건으로 8.6배 증가했다.
경기도는 이외에도 인력 채용 등의 문제로 달빛어린이병원 운영시간을 충족하기 어려운 의료기관에 대해 운영비를 지원하는 '경기도 취약지 소아 야간·휴일 진료 기관 제도도 운영하고 있다.
유영철 경기도 보건건강국장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 초까지 소아 진료 공백 해소를 위해 개선 대책을 수립하고 진료 기관을 확대를 중점적으로 추진했다"면서 "앞으로는 단순한 기관수 확대에 그치지 않고 중증도에 따라 적절히 진료받을 수 있는 실질적이고 지속가능한 체계를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