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르포]'샤넬 부활' 이끈 패션 거장… 성수동 상륙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서울 성수동서 '칼 라거펠트' 팝업스토어
패션 거장 철학 담은 공간으로 구성
CJ온스타일, 프리미엄 브랜드 전략적 육성

서울 성수동 칼 라거펠트 몰입형 팝업스토어 내부 전경. CJ온스타일 제공.

서울 성수동 칼 라거펠트 몰입형 팝업스토어 내부 전경. CJ온스타일 제공.

AD
원본보기 아이콘

16일 찾은 서울 성수동 '칼 라거펠트(KARL LAGERFELD) 팝업스토어'. 출입문을 열자 흑백으로 가득 찬 공간이 펼쳐졌다. 한지로 제작한 하얀색 셔츠 깃이 벽면 한쪽을 가득 메웠다. 흰 와이셔츠는 세계적인 디자이너 칼 라거펠트의 철학이 담긴 상징물이다. '숨 쉬는 것처럼 디자인한다', '현재를 포용하고 미래를 창조하라' 등의 생전 칼 라거펠트가 남긴 명언을 곳곳에서 볼 수 있었고, 디자이너의 영감을 담은 드로잉북과 소품은 갤러리를 연상케했다. 칼 라거펠트의 반려묘로 유명한 실물 크기의 '슈페트(Choupette);의 코스튬도 전시됐다.


독일 출신 디자이너 칼 라거펠트는 1980년대 '샤넬의 부활'을 이끈 인물로 평가받는 세계적인 디자이너다. 펜디와 샤넬을 상징하는 로고를 의상과 가방에 활용하면서 큰 반향을 일으켰다. 1984년 자신의 이름을 딴 브랜드를 론칭해 파리와 런던, 뮌헨, 두바이, 상하이 등 전 세계 주요 도시에 200개 이상의 매장을 보유하고 있다. 국내에선 CJ온스타일이 2019년 라이선스 계약을 맺었으며, 한국 팝업스토어는 이번이 처음이다.

프랑스 패션 브랜드 '칼 라거펠트'가 서울 성수동 팝업스토어 개최를 기념해 한지로 제작한 하얀색 와이셔츠들이 벽면 한쪽을 가득 메우고 있다. 사진=박재현 기자

프랑스 패션 브랜드 '칼 라거펠트'가 서울 성수동 팝업스토어 개최를 기념해 한지로 제작한 하얀색 와이셔츠들이 벽면 한쪽을 가득 메우고 있다. 사진=박재현 기자

원본보기 아이콘

팝업스토어에서는 올해 S/S시즌 전 제품을 국내 최초로 선보인다. 현장 피팅도 가능하며, 전 제품은 CJ온스타일 모바일 앱과 연동된 QR코드를 통해 즉시 구매할 수 있다. 방문 고객들 중 일정 금액 이상 구매한 고객에게는 슈페트 키링, 아이콘 토트백, 트렁크 등을 추첨 증정한다. SNS 이벤트 참여 시 럭키드로우 응모 기회를 제공한다.


이번 팝업스토어는 프리미엄 패션을 강화 중인 CJ온스타일과 칼 라거펠트 측의 한국 시장 확대 전략이 맞아 떨어지면서 열게됐다. CJ온스타일은 바니스뉴욕과 다니엘 크레뮤, 에디바우어 등 준명품 패션을 운영하는데, 칼 라거펠트와 협업을 강화해 프리미엄 패션 채널로 입지를 확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CJ온스타일 관계자는 "주 고객층의 프리미엄 브랜드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점이 타 플랫폼과 차별화할 수 있는 부분"이라며 "이에 따라 글로벌 프리미엄 패션 브랜드를 전략적으로 육성함으로써 고급화와 차별화 경쟁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칼 라거펠트도 과거 유럽 시장에서 확장했지만, 최근 패션의 중심지로 부상한 한국 시장 공략을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김훈 칼 라거펠트 수석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는 "한국은 패션의 성지로 꼽히는데, 브랜드 입장에서는 굉장히 진출하고 싶지만 소비자들의 눈높이가 높아 어려운 시장"이라며 "이번 행사를 통해 20·30세대 젊은 한국 고객들과 더 가까이 소통하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이번 팝업스토어는 17일부터 26일까지 일반 방문객에게 예약 없이 무료로 공개한다.





박재현 기자 now@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