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너무 금값이라" 확 맘 바뀐 일본인…한국산 쌀 연일 완판행진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쌀값 폭등에 일본 소비자 인식 바뀌어
한국산 잇달아 완판에 추가 수출

일본에서 쌀값이 고공행진 하면서 수입산 쌀 판매도 활기를 띠고 있다. 16일 요미우리신문은 일본인은 그동안 자국산 쌀에 애착을 보였지만 급등한 쌀값 탓에 수입산 쌀에도 눈길을 주는 등 많은 이들이 찾고 있다고 보도했다.

일본으로 수입되는 한국산 쌀도 연이어 완판되고 있다. NH농협무역의 일본 지사인 농협인터내셔널에 따르면 이달 초 일본에서 수입한 전남 해남 브랜드 쌀 10t이 판매 개시 약 열흘 만에 완판됐다. 사진은 기사의 특정 내용과 관련 없음. 강진형 기자

일본으로 수입되는 한국산 쌀도 연이어 완판되고 있다. NH농협무역의 일본 지사인 농협인터내셔널에 따르면 이달 초 일본에서 수입한 전남 해남 브랜드 쌀 10t이 판매 개시 약 열흘 만에 완판됐다. 사진은 기사의 특정 내용과 관련 없음. 강진형 기자

AD
원본보기 아이콘

수입쌀의 인기는 시장 수요에서도 여실히 드러난다. 일본 최대 슈퍼마켓 체인인 이온은 오는 6월부터 미국 캘리포니아산 쌀을 판매하기로 했다. 수입 때 1㎏당 341엔(약 3290원)의 관세를 물어도 일본산 쌀보다 10%가량 싼 가격에 팔 수 있기 때문이다. 고기덮밥 '규동' 체인으로 유명한 마쓰야를 거느린 마쓰야푸딩홀딩스는 이미 체인의 약 80%에서 미국산 쌀을 사용하고 있다.


수입 쌀 수요가 늘자 현지 무역상이나 도매상의 쌀 수입 확대 움직임도 활발하다. 종합상사인 가네마쓰는 애초 1만t으로 계획한 쌀 수입량을 2만t으로 늘려 미국산과 함께 대만, 베트남산 수입도 검토 중이며 쌀 도매 유통사인 신메이는 7월까지 수입 예정인 약 2만t의 판매 예약이 이미 끝난 상태라고 한다.

대일 쌀 수출 규모, 1990년 통계 낸 이래 최고치 경신 예약

이런 변화 배경에는 소비자 의식 변화도 자리 잡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일본생활협동조합연합회가 지난 3월 6342명을 상대로 벌인 설문에서는 쌀 구입 때 중시하는 요인으로 77.8%가 '국산'을 꼽았지만 33.1%는 '싼 가격'이라고 응답했다. '싼 가격'을 꼽은 응답률은 작년 10월 조사 때보다 1.8%포인트 높아졌다.

그렇다면 일본의 쌀값이 이렇게나 폭등한 이유는 뭘까. 이유는 복합적이다. 가장 큰 이유로는 이상 기후로 인한 작황 부진을 들 수 있다. 2023년 기록적인 여름 폭염으로 벼 생육에 차질이 생겨 양질의 쌀 생산량이 줄어든 것이 영향을 미쳤다. 픽사베이

그렇다면 일본의 쌀값이 이렇게나 폭등한 이유는 뭘까. 이유는 복합적이다. 가장 큰 이유로는 이상 기후로 인한 작황 부진을 들 수 있다. 2023년 기록적인 여름 폭염으로 벼 생육에 차질이 생겨 양질의 쌀 생산량이 줄어든 것이 영향을 미쳤다. 픽사베이

원본보기 아이콘

이 가운데 일본으로 수입되는 한국산 쌀도 연이어 완판되고 있다. NH농협무역의 일본 지사인 농협인터내셔널에 따르면 이달 초 일본에서 수입한 전남 해남 브랜드 쌀 10t이 판매 개시 약 열흘 만에 완판됐다. 앞서 이 회사는 지난 3월 한국 쌀 2t을 수입해 지난달 온라인 쇼핑몰과 도쿄 내 코리아타운인 신오쿠보 슈퍼 등을 통해 팔았다.

NH농협무역 관계자는 "이달 현지 판매에는 유대관계를 쌓아온 가나가와현 하다노농협 직판장이 가세하는 등 유통망도 확대됐다"며 "상황을 봐가며 이달 말까지 우선 일본에 쌀 약 100t 수출을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한국의 대일 쌀 수출 규모로는 관련 통계가 있는 1990년 이후 35년 만의 최고치 경신이 예약된 셈이다. 지난달까지 NH농협무역은 22t의 수출을 조율했으나 일본 내 반응이 좋아지자 계획물량을 늘려가고 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한국은 2011∼2013년, 2016년에 각각 쌀 10t 안팎을 일본에 수출했다.


그렇다면 일본의 쌀값이 이렇게나 폭등한 이유는 뭘까. 이유는 복합적이다. 가장 큰 이유로는 이상 기후로 인한 작황 부진을 들 수 있다. 2023년 기록적인 여름 폭염으로 벼 생육에 차질이 생겨 양질의 쌀 생산량이 줄어든 것이 영향을 미쳤다. 일본 농림수산성 자료에 따르면, 2024년산 신쌀 가격이 전년보다 48% 상승하며 31년 만의 최고치에 달했는데, 이는 폭염에 따른 전년도 수확량 감소 영향이 크다?. 총생산량 자체는 평년과 비슷하거나 약간 부족한 수준이었지만, 품질 저하와 지역적 흉작이 공급 불안을 부추겼다. 또한 일본 농림수산성은 지난해 쌀 수확량이 679만t으로 전년보다 18만t 늘었다고 발표했지만, 농협 등 주요 집하 업체가 매입한 쌀은 221만t에 불과하다. 전년과 견줘 23만t이 오히려 감소한 것이다. 생산은 늘었는데 유통량은 줄어든 기묘한 상황이다.


여기에 2024년 8월, 일본 기상청이 난카이 트로프 거대지진 가능성을 경고하자 시민들이 비상 대비로 쌀 사재기에 나선 것도 폭등에 영향을 미쳤다. 지난해 8월께 한 달 가정의 쌀 구매량이 평년 대비 29%나 급증했고, 그 영향으로 가을 신곡이 나오기 전까지 시장 재고가 바닥나 가격이 치솟았다. 에코 타쿠 농림수산성 장관은 "어딘가에 쌓인 쌀이 부족을 초래했다"며 가정의 사재기 이외에 투기 세력을 지목했지만 명확한 증거는 제시하지 못했다. 이 밖에도 와타나베 요시아키 니가타식량농업대학 명예학장은 주간지 슈칸분슌에서 "쌀 통계조사원이 줄어 정확한 생산량 파악이 어렵다"고 밝혔다. 과거 수만 명에 달하던 조사원이 예산 문제로 축소되며, 소규모 표본으로 전체 생산량을 추정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고, 온라인 직거래 증가로 정부가 유통 구조 변화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도 나왔다.

한편, 요미우리신문은 쌀값이 고공행진을 벌이자 농가에서는 벼농사를 확대하려는 흐름이 보이고 대형 유통업체에서는 벼가 익지도 않은 상태에서 벌써 농가를 상대로 입도선매에 나서기도 했다고 전했다. 일본에서는 작년 하반기부터 쌀값이 고공행진을 벌여 정부가 올해 3월부터는 비축미까지 푸는 등 대응에 나섰지만 좀처럼 가격이 안정되지 않고 있다. 농림수산성이 지난달 28일부터 이달 4일까지 조사한 전국 슈퍼의 쌀(5㎏ 기준) 판매가격은 4214엔(약 4만원)으로 1년 전의 2배 수준이었다. 일본 정부는 비축미 방출에도 소매 유통단계까지 효과가 나타나지 않자 입찰 조건 완화 등 추가 대응책도 추진하기로 했다.





방제일 기자 zeilism@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네이버 아이콘네이버 랭킹 기사

구독아이콘구독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