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이젠 고추밭으로 변한 운동장…폐교 사진만 찍는 선생님 "누군가의 유년시절이니까"[소멸]⑧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2008년부터 시작해 폐교 300여개 촬영
가장 기억나는 폐교는 동향초 성산분교
감곡초도 학생 수 18명에 불과
"학교, 경제논리보다는 복지로 접근했으면"

편집자주"한 아이를 키우려면 온 마을이 필요하다." 나이지리아의 유명한 속담이다. 하지만 문장 구조를 거꾸로 배치해도 말이 된다. 마을을 유지하려면 아이가 필요하다. 현재 한국의 마을들이 그러하다. 아이를 키우지 않는 마을들은 대가를 치르고 있다. 사람이 다니지 않으면서 낙후되고 컴컴하고 적막 속에 빠졌다. 방치된 폐교가 지역사회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직접 살피고자 한다.

"선생님! 선생님!" 15일 논밭으로 가득한 전북 정읍시 감곡면 감곡초등학교 인근은 오후 3시30분이 되자 시끌벅적해졌다. 집으로 가려는 아이들이 학교에서 나온 것. 5분 전만 해도 사람이 다니지 않아 조용하던 곳에 활기가 돌기 시작했다. 아이들은 체크무늬 남방을 입은 서영주씨(54·남)에게 찰싹 달라붙어 말을 걸었다. 서씨는 크기가 제각각인 아이들 하나하나 머리를 쓰다듬고 조심히 집에 가라고 인사했다. 곧바로 집에 가는 아이가 있는가 하면, 친구와 걸으면서 장난치는 아이도 있었다. 전교생이 18명에 불과한 시골 학교 교사와 학생의 일상이다.


지난 15일 전북 정읍시 감곡면 감곡초등학교에서 만난 서영주씨(54·남)는 초등교사이자 사진작가다. 그가 2008년 자신이 촬영한 전북 진안군 동향초 성산분교 폐교 사진을 보여주고 있다. 공병선

지난 15일 전북 정읍시 감곡면 감곡초등학교에서 만난 서영주씨(54·남)는 초등교사이자 사진작가다. 그가 2008년 자신이 촬영한 전북 진안군 동향초 성산분교 폐교 사진을 보여주고 있다. 공병선

AD
원본보기 아이콘

서씨는 26년차 초등교사인 동시에 폐교만 촬영하는 사진작가다. 2008년부터 시작해 지금까지 전남과 전북 지역을 다니면서 폐교를 촬영했다. 그가 지금까지 찍은 폐교만 300여개다. 2011년 폐고 사진을 모아 개인 사진전 '공상'을 열기도 했다. 서씨가 보여준 사진 속에는 정리가 잘 돼 깔끔한 폐교, 무성한 풀숲에 가려 보이지도 않는 폐교, 건물 자재가 부서져 흐트러진 폐교 건물 등이 담겨있었다.

그는 자신이 찍은 폐교들을 보여주면서 언제 갔고, 주변 풍경이 어땠고, 폐교에 무엇이 있었는지 모두 기억했다.


"전북 남원시 남천초등학교 폐교에는 오귀스트 로댕의 작품 '생각하는 사람'이 동상으로 있더라고요. 2000년대에 세계화 흐름을 타면서 유럽식 동상이 학교에도 생겼는데, 재밌게도 옆에는 동양의 효를 의미하는 효자 소년 '정재수' 동상이 있고요."


서씨 기억에 가장 많이 남아 있는 폐교는 전북 진안군에 위치한 동향초 성산분교다. 산골 깊숙이 위치한 학교는 교실이 2칸에 불과할 정도로 작은 건물이다. 누가 보면 창고라고 착각할 정도라고 한다. 폐교 앞에 있는 작은 운동장엔 누군가 밭을 일궈 고추를 심어놨다. 폐교 건물의 벽에는 '나라에 충성하고 부모에 효도하자'고 적혀 있었다.

그는 "동향초 성산분교를 촬영하면서 이 학교에 아이를 보냈던 학부모이자 마을주민을 만났다. 여기는 교사가 출퇴근하기 어려운 곳이라 부부 교사가 건물로 와서 지냈다고 한다"며 "폐교를 찾아다니다 보면 요즘엔 마주하기 어려운 표어가 적혀 있곤 하다. 과거 독재 정권이 필요로 했던 사상의 흔적이 남은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15일 전북 정읍시 감곡면 감곡초등학교에서 만난 서영주씨(54·남)가 2010년 폐교된 용곽초등학교 사진이 담긴 앨범을 보여주면서 설명하고 있다. 공병선

지난 15일 전북 정읍시 감곡면 감곡초등학교에서 만난 서영주씨(54·남)가 2010년 폐교된 용곽초등학교 사진이 담긴 앨범을 보여주면서 설명하고 있다. 공병선

원본보기 아이콘

그가 폐교를 찍게 된 이유는 학교가 가지고 있는 남다른 의미 때문이다. 폐교가 지금은 방치돼 쓸쓸한 느낌을 주지만 이전에는 누군가의 유년 시절이자 기쁨이었다. 서씨는 다시는 돌아오지 못할 사람들의 유년 시절을 기록하기 위해 폐교를 찾아다니기 시작했다. 그가 운영하고 있는 블로그에 폐교 사진을 올리면 사람들이 찾아와서 그 학교에 대한 추억을 댓글로 남겼다. 그러한 댓글을 볼 때마다 서씨는 뿌듯함을 느낀다. "제가 나온 초등학교는 전북 전주시의 덕진초등학교입니다. 덕진초를 가끔 가면 옛날 추억이 떠오르고 그냥 기분이 좋아요. 폐교도 마찬가지입니다. 모두의 유년 시절 공간이자 기쁨의 공간입니다. 그 공간을 사진으로나마 남기고 싶었어요."


하지만 폐교를 찍으면서 기쁨만을 느낄 수는 없었다. 서씨는 "폐교는 단순히 학교가 문을 닫았다는 의미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폐교됐다는 것은 동네에 아이가 없다는 것이고, 어른도 도저히 정착할 수 없다는 걸 의미한다는 것. 즉, 지역소멸 과정에서 남겨진 것을 의미한다고 했다.


전북 지역도 인구 감소로 인한 폐교를 체감하고 있다. 교육지방자치단체 재산 조회사이트 지방교육재정알리미에 따르면 전북에서는 지금까지 61개의 폐교가 발생했고 이가운데 7개 폐교가 미활용 상태다. 감곡초와 멀지 않은 곳에도 폐교가 있다. 차로 7분 거리에 위치한 용곽초등학교는 학생 수 감소로 인해 2010년 감곡초와 통폐합되면서 문을 닫았다. 용곽초는 현재 지방교육재정알리미에서 생태체험장으로 자체 활용 중이라고 조회된다. 하지만 직접 찾아가 보니 문은 잠겼고 폐교 부지는 풀로 무성해 사실상 방치된 상태다. 용곽초 이야기에 서씨는 통폐합되면서 감곡초로 넘어온 용곽초 사진 앨범을 보여줬다. 사진 속에 있는 1970년대 학생들 100여명은 우르르 뛰어다니며 운동회를 즐기고 있었다.


지난 15일 방문한 전북 정읍시 감곡면 용곽초등학교는 감곡초등학교와 7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용곽초는 2010년 학생 수 감소를 이유로 폐교됐다. 지방교육재정알리미에서는 생태체험장으로 자체 활용 중인 것으로 조회되지만 방문하는 사람 없이 시설이 방치돼 있었다. 공병선

지난 15일 방문한 전북 정읍시 감곡면 용곽초등학교는 감곡초등학교와 7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용곽초는 2010년 학생 수 감소를 이유로 폐교됐다. 지방교육재정알리미에서는 생태체험장으로 자체 활용 중인 것으로 조회되지만 방문하는 사람 없이 시설이 방치돼 있었다. 공병선

원본보기 아이콘

이런 현실은 서씨가 근무 중인 감곡초와도 멀지 않다. 전교생이 18명밖에 없기도 하지만 이가운데 5학년 3명, 6학년 5명이다. 올해 들어온 1학년은 1명이다. 감곡초는 감곡면의 유일한 학교라 없어지지는 않겠지만 5, 6학년 학생이 졸업하면 10명도 채 안 남을 수 있다. 정읍시의 인구는 1970년 기준 약 26만명에 달했지만 지난해 6월 기준 10만2851명으로 크게 줄었다. 시골 교사인 서씨는 학부모들이 자녀 교육 때문에 시골을 떠나 도심으로 간다는 이야기를 숱하게 듣고 있다. 그가 담임을 맡고 있는 5학년 교실에도 의자는 3개뿐이었다.


하지만 서씨는 시골 학생들도 충분히 좋은 교육을 받고 행복하다는 이야기가 퍼지길 원했다. 그래야 아이와 부모가 시골을 찾지 않겠냐는 것. 감곡초 학생들은 시골에서 살기 때문에 방과 후 학원을 갈 수 없지만 드론, 골프 등 도시 학생도 배우기 어려운 것들을 방과 후 배우는 게 가능하다. 서씨가 무엇보다 강조한 건 선생님과 학생 간의 교감이다. 서씨는 "예전에 큰 학교에서 근무해봤지만 시골 학교만큼 아이들과 관계가 좋은 적이 없었다"며 "하나하나 눈을 마주치면서 수업을 하니까 집중도가 좋다. 어떻게 공부하고 있는지 점검할 수 있고 발표도 모두 할 수 있으니까 아이들의 교육 만족도가 높다"고 말했다.


지난 15일 전북 정읍시 감곡면 감곡초등학교에서 만난 서영주씨(54·남)가 담임을 맡고 있는 5학년 교실. 책상과 의자가 각각 3개씩만 있다. 공병선

지난 15일 전북 정읍시 감곡면 감곡초등학교에서 만난 서영주씨(54·남)가 담임을 맡고 있는 5학년 교실. 책상과 의자가 각각 3개씩만 있다. 공병선

원본보기 아이콘

서씨는 학생이 줄었다고 폐교가 쉽게 이뤄지기보다는 가능한 한 오래 버티는 게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 번 폐교되면 재활용하기도 쉽지 않고 방치될 때 지역에 가져오는 악영향이 크다는 이유에서다. 그는 "교육만큼은 경제 논리로 접근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교육 복지 차원으로 접근해 몇 명의 학생이라도 충분한 교육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며 "학교 문을 닫을 게 아니라 어떻게 하면 사람들을 유입시킬 수 있을지, 지역 공동체를 강화할지 고민하길 원한다"고 말했다.


이젠 고추밭으로 변한 운동장…폐교 사진만 찍는 선생님 "누군가의 유년시절이니까"[소멸]⑧ 원본보기 아이콘




공병선 기자 mydillon@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