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교육청, 스승의 날 기념 미담 사례 소개
울산시교육청은 제44회 스승의 날을 맞아 교육 현장의 진정한 스승들을 조명하는 따뜻한 사연들을 소개했다.
위기 학생을 품은 상담 교사, 특수교육 맞춤 인성교육 콘텐츠 제작자, 교육공동체의 소통을 이끄는 교장까지 묵묵히 학생 곁을 지킨 스승들의 이야기가 잔잔한 감동을 전하고 있다.
중구 다운고등학교 이의경 교사(교직 18년 차)는 위기 청소년을 위한 '관계 중심 교육'으로 울산 교육계에 따뜻한 울림을 전하고 있다. 2022년 중학교 담임 시절, 한 학생의 자해 예고 메시지를 발견한 그는 '네 소망 목록(버킷리스트)이 뭐야?'라는 질문에서 출발한 모둠 상담을 운영했다.
'회전초밥 먹기', '불꽃놀이 보기' 등 소소한 꿈을 나누며 학생들은 자연스럽게 서로를 지지했고, 그 결과는 자해 예방은 물론, 공동체 회복으로 이어졌다. 이 활동은 현재도 다양한 형태로 지속되고 있다.
코로나로 축제가 무산될 위기였던 해에는 비대면 유튜브 방송 '보이는 라디오'를 기획해 실시간 댓글 소통을 통해 전교생이 함께하는 축제를 완성하기도 했다. SNS를 통해 학생들과의 거리를 좁히는 데도 앞장서고 있다.
그는 위기 학생들과 헬스장에 동행하거나 아르바이트 현장을 방문하는 등 학생 인생에 실제로 개입하며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어른 친구'로 기억된다.
"선생님 같은 교사가 되겠다"는 말을 남기고 서울시교육청 국어교사로 임용된 제자도 있다. 이 교사는 지난해 언니인 故 이경언 교감을 떠나보낸 뒤, "더 큰 교사가 되겠다"는 결심을 교육 현장에서 실천으로 이어가고 있다.
울주군 울산행복학교 최희진 교사(교직 15년 차)는 특수교육 대상 학생을 위한 맞춤형 인성교육 영상 콘텐츠로 큰 반향을 일으켰다.
영상은 수업, 급식 등 학생들의 일상 속에서 감정조절·자기관리 등을 실천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학생의 발달단계와 감각 민감성을 고려해 자막, 음향, 장면 전환까지 정교하게 편집했으며, 동료 교사들이 배우로 출연해 교육 효과를 높였다.
영상 이후 학생들은 먼저 친구에게 말을 걸거나 감사 인사를 건네는 등 실제 생활 속 행동 변화로 이어졌다. 이 과정엔 동료 교사들과 사회복무요원이 함께 참여하며 협력 문화를 빚어냈다.
최 교사는 "단지 전달하는 교육을 넘어, 우리 학생들이 교육을 '느끼고 실천'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진정한 인성교육"이라고 말했다.
북구 염포초등학교 최은호 교장(교직 31년 차)은 '학생 중심', '소통 중심' 학교 문화를 이끄는 대표적인 교육자다.
염포초는 '교장선생님 사랑방'을 통해 학생들과의 대화를 정례화하고 있다. 미리 수렴한 설문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요구를 학교에 반영, 화장실 비데 설치, 놀이터 시계 설치, 교문 개선 등 실질적인 변화로 이어졌다.
점심시간엔 운동장에서 아이들과 함께 축구를 하고, 교내 화단을 거닐며 식물 이름을 가르쳐주는 모습도 일상이다. 학생들은 "교장선생님이 이름을 다 기억해주고 함께 놀아주셔서 좋다"는 반응을 보인다.
교직원과의 소통도 돋보인다. 신규 교사에게는 수업과 진로 조언, 마음이 힘든 교사에겐 간식과 커피로 위로를 건네는 등 학교 구성원 모두가 존중받는 학교 문화를 조성해왔다.
'소담소담', '모임' 등 협의체를 통해 학교 운영에 학부모·교사·학생의 의견을 반영하는 '참여형 학교 운영 철학'도 눈길을 끈다. 염포초는 명실공히 모두가 함께 만드는 교육 공동체로 자리 잡았다.
천창수 울산교육감은 "학생 한 명, 교사 한 명이 만들어가는 교육의 기적이 울산 전역에서 현실이 되고 있다"며 "앞으로도 현장 교원들의 헌신을 응원하고, 존경받는 스승 문화가 확산하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영남취재본부 조충현 기자 jchyoung@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