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악시오스, 보고서 입수해 보도
고임금 목적 취업 시도
북한의 미사일 프로그램에 사용
북한이 서방 기업들을 속여 정보기술(IT) 인력들을 위장 취업시키기 위해 중국에 유령회사를 세웠다는 보고서가 나왔다.
13일(현지시간) 미 악시오스에 따르면 포천 10대 기업 중 8곳과 협업 중인 사이버 정보 플랫폼 '스트라이더 테크놀로지스'(스트라이더)는 이날 공개한 보고서에서 북한의 IT 인력 운영과 관련이 있는 중국 기반 회사 35곳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들 회사는 미국의 제재 대상인 '랴오닝 차이나 트레이드 인더스트리'(Liaoning China Trade Industry Co.)와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해당 회사는 북한 정부 기관에 IT 장비를 수출해 제재받은 바 있다. 미국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OFAC)은 지난 1월 16일 북한 IT 노동자를 위한 노트북 등 장비를 북한 인민무력성 53부에 공급한 랴오닝 중국 무역을 제재 명단에 올렸다고 밝힌 바 있다.
스트라이더는 35개 회사 중 세 곳을 북한 IT 활동과 관련된 자금 흐름과 직결된 주요 조직으로 지목했다. 섬유·전자제품 도소매 업체로 등록한 '단둥 데윤 무역', 화장품·의류 도매업체 '광저우 아이이시 무역', 광물·건축자재 도매업체로 등록된 '융핑 주오런 광업' 등이다.
수년간 북한 IT 인력들은 고임금을 목적으로 미국 기업에 취업해왔다. 이렇게 벌어들인 외화를 북한의 미사일 프로그램에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포천 500대 기업 대부분은 북한 IT 인력이 자사에 취업을 시도하는 문제로 고심하고 있다. 그러나 법적 제재와 평판 악화 우려로 인해 대부분 공개적으로 이 문제를 언급하지 않고 있다. 구글 역시 최근 RSA 콘퍼런스에서 북한 IT 인력이 자사 채용에 지원한 사실이 있다고 밝혔다. 보안업체 센티넬원과 노비포는 과거 이들을 실제로 채용한 사례도 있다고 인정했다.
최근에는 단순한 금전 획득을 넘어, 기업 내부 정보와 지식재산권 등 기밀정보를 수집하는 방향으로 전략이 바뀌고 있다고 스트라이더의 그레그 레베스크 최고경영자(CEO)가 악시오스에 전했다.
레베스크 CEO는 "현재 우리가 모두 깨닫고 있는 건 이 산업(북한의 IT 인력 위장취업)의 규모와 범위가 사람들이 처음에 알고 있었던 것보다 훨씬 크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김민영 기자 argus@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제값에 보면 바보'? 통신사·카드사 할인 우르르…영화 생태계 죽어간다[벼랑 끝 극장의 선택]](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41818563426168_1747200216.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