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李 "박정희, 민주주의 말살했지만 산업화 공도 있어"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13일 '박정희 고향' 구미서 이재명 유세
"朴 불법·탄압 안했다면 칭송받았을 것"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유세차 경북 구미를 찾아 박정희 전 대통령에 대해 "민주주의를 말살했지만, 산업화를 끌어낸 공이 있다"며 양면적으로 평가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13일 경북 구미역 광장에서 이 후보는 "젊은 시절에 박 전 대통령에 대해 독재적이고 군인과 사법기관을 동원해 사법살인을 하고 고문을 하고 장기집권을 하는, 민주주의를 말살하는 아주 나쁜 사람이라고 생각했다"면서도 "또 한편으로 보면 이 나라 산업화를 끌어낸 공도 있다"고 밝혔다. 구미는 박 전 대통령의 고향이다.

이 후보는 "만약 박 전 대통령이 쿠데타를 하지 않고 민주적인 과정으로 집권해 민주적 소양을 갖춰 정말 살림살이만 잘하고 나라를 부유하게 만들었으면 칭송받지 않았겠느냐"고 되물었다. 그는 "다만 이것도 이미 지난 일이고, 말씀드리자고 하는 것은 국가·국민에 충직하고 유능한 일꾼이 있으면 세상이 개벽할 정도로 변할 수 있다는 사실"이라고 덧붙였다.


보수세가 강한 구미에서 이 대표는 지지를 호소했다. 그는 "제가 제 고향 안동에서 어릴 때 봤던 대구, 구미는 엄청 대단한 도시였는데 지금 보니까 변한 게 없다"며 "왜 그렇게 됐느냐"고 물었다.


그러면서 "구미는 박 전 대통령이 출생한 곳이지만, 민주당의 시장이 한 번 된 일이 있다고 들었는데 대단하다"며 "민주당을 찍었다고 대단한 게 아니라 다른 선택을 한다는 것을 보여줬기 때문"이라고 했다. 그는 "다른 선택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고, 너(보수) 말고도 내가 쓸 사람들이 얼마든지 있다는 것을 보여준 것"이라며 "이재명도 한번 일 시켜보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구미시가 가수 이승환씨의 콘서트 공연장 대관을 취소한 것을 두고 "쪼잔하게 왜 그러냐"며 "이것이 특정 정치세력의 사유물이냐"고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기도 했다. 또 이를 성남시장 시절 보수계열 사회 봉사단체를 지원했던 사례와 대비했다. 이 후보는 "당시 단체들을 모아놓고 '누구 편도 들지 말고 내 편도 들지 말고, 원래 모임의 고유 목적인 봉사·공헌 활동을 열심히 하라'고 했다"며 "(단체들에) 예산도 많이 지원해주고 사무실도 지원해주고 많이 도와줬더니 모두 우리 편이 됐다"고 했다.


신재생에너지 이익공유제 '햇빛연금' 도입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대한민국이 에너지 수입으로 연간 180조에서 200 몇조씩 쓴다고 한다"며 "지금은 재생 에너지 시대라, 화석연료로 제품을 만들면 이제는 글로벌 기업들이 사지 않는다고 한다"고 했다. 이어 "대한민국은 현재 삼성전자 한 곳이 쓸 재생에너지도 갖고 있지 않아서 글로벌 기업들이 생산기지를 해외로 옮기고 있다"며 "국내 생산, 일자리가 줄고 국민 경제에 피해가 있으면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여주 구양리의 사례를 들며 "조그마한 동네인데 태양광 발전 시설을 깔아놔 한 달에 순이익만 1000만원이 나와 동네사람들의 밥이 다 공짜고, 버스도 무료로 돌리고 사무장도 젊은 사람을 고용했다고 하더라"며 "골짜기마다 (발전 시설) 몇 개를 만들면 먹고살 수 있고, 우리가 말하는 햇빛 연금을 만들 수 있는데 왜 안 하는 것이냐"고 강조했다.


이 후보는 "박 전 대통령이 고속도로를 놓으면서 팔기 위한 농업이 가능해졌는데, 이런 정책을 하나 베끼려고 한다"며 "인구밀도가 낮은 지방 군 단위 지역에 전력을 팔 수 있는 송배전망만 깔아놓는다면 농촌이 살길이 생기고, 국민 일자리가 생기고, 산업이 발전할 것"이라고 했다.


이 후보는 "할 일은 무궁무진하게 많고, 누가 하느냐에 따라서 전혀 다른 세상이 열릴 수 있다"며 "그놈이 그놈이라고 하지만 그놈이 그놈이 아니다"고 전했다.





황서율 기자 chestnut@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