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울진군, ‘울진금강송 산지농업시스템’ FAO 세계중요농업유산 등재 추진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15일 현장실사, 농촌 관광·경제 활성화 등 파급효과 기대

경북 울진군은 금강송면 전곡리, 소광리와 북면 두천리 일원에 지정돼 있는 국가중요농업유산 제7호'울진금강송 산지농업시스템(Ul-Jin Pinetree Agroforestry System)'을 세계중요농업유산으로의 지정을 위한 마지막 단계인 현장실사를 위한 본격적인 준비에 돌입했다.

울진 금강송산지농업시스템(이미지).

울진 금강송산지농업시스템(이미지).

AD
원본보기 아이콘

울진군이 제출한 서면 신청서의 사실 여부 판단 등을 위한 절차인 현장 실사는 오는 5월 15∼16일 FAO(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 GIAHS(세계중요농업유산) SAG(과학자문그룹)의 Catherine Tucker(캐서린 터커, 경제·환경 인류학자) 위원이 진행한다.


일정은 금강송 에코리움·소광리 금강소나무 군락지 방문(황장봉 경계비)과 소광리 농가를 방문해 산지농업시스템(봇도랑), 한봉을 포함한 산채 재배 실사로 이뤄지며, 전곡리 화전민 생가터·화전민 체험관(전통음식 시연 등), 금강소나무 숲(마을 송이산) 가꾸기 현장을 보일 예정이다.

또 두천리 주막촌을 방문해 금강소나무 생활 도구 소개와 체험, 보부상 문화 등을 설명 후 등금쟁이 공연으로 선조들이 오간 십이령 옛길의 모습을 재현하며, 불영사의 금강소나무 전통 건축물을 선보이며 주민간담회로 마무리한다.


이번 세계중요농업유산(GIHAS) 등재는 단순한 농업 유산 보전의 의미를 넘어 세계적 가치와 브랜드 이미지 제고, 전통 지식의 세계적 인정이라는 측면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특히 GIHAS 등재 이후에 농촌 관광·경제 활성화, 전통 생계 시스템에 대한 학술, 교육적 활용 등 다양한 파급 효과가 기대된다.

세계중요농업유산 등재 여부는 차기 SAG 회의에서 현장 실사 결과 발표와 함께 결정된다.


손병복 군수는 "이번 FAO 현장 실사가 울진의 전통이 세계로 뻗어나갈 수 있는 도약의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여러 차례의 자문회의와 보완을 거쳐 준비한 만큼 좋은 결과를 기대한다"라며 "울진금강송의 전통성과 우수성을 심사단에 적극 알려 세계중요농업유산에 등재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봇도랑을 통한 농경지 수원 확보(전통지식시스템).

봇도랑을 통한 농경지 수원 확보(전통지식시스템).

원본보기 아이콘




영남취재본부 김귀열 기자 mds7242@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