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 성과 추적 및 바이오마커 개발
'CARE-KIDS 코호트'가 소아 염증성 장질환 치료 성과 추적 및 맞춤형 치료를 위한 후속 연구에 나선다.
CARE-KIDS 코호트는 2025년부터 후속 연구를 본격적으로 진행하며, 20여개 대학병원을 중심으로 환자들의 임상 자료와 혈액, 조직, 대변 검체 등을 확보해 e-CRF(전자기록양식)와 인체자원은행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추적할 예정이라고 7일 밝혔다. 이를 통해 맞춤형 치료의 기준을 마련하고, 바이오마커 개발 및 정밀의학 연구를 강화한다는 복안이다.
CARE-KIDS 코호트는 소아 염증성 장질환 환자들의 치료 성과를 분석하고 질병 진행 상황을 장기적으로 추적하는 연구 프로젝트다. 심정옥 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가 주도하고 있으며, 이건희 소아암·희귀질환 극복사업의 지원을 받아 진행되고 있다. 서울대병원과 고려대구로병원, 세브란스병원, 삼성서울병원, 서울아산병원 등 국내 주요 20여개 대학병원이 참여하고 있다. 2022년부터 4년째 이어지고 있으며 현재까지 1041명의 환자와 5937 바이알의 인체자원을 갖춘 아시아 최대 규모의 코호트로 성장했다.
소아 염증성 장질환(IBD), 특히 크론병과 궤양성 대장염은 한국에서 발병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전체 환자의 약 10~15%가 18세 이전에 진단받으며, 소아 크론병의 연간 발병률은 지난 10년간 2배 이상 증가했다. 소아 궤양성 대장염의 발병률도 꾸준히 상승하고 있으며, 발병 연령 역시 어려지고 있다. 이들 질환은 만성적인 염증을 일으켜 장기적으로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지만, 적절한 치료를 통해 건강한 사회의 일원으로 성장할 수 있다.
심정옥 교수는 "CARE-KIDS 코호트가 희귀난치 질환의 특성상 궁극적으로 장기 코호트로 발전하고, 질병관리청의 만성질환 관리 사업에 포함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며 "이 공동 연구 플랫폼을 통해 전국 모든 병원에서 동일한 수준의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했다.
한편 심정옥 교수는 아시아태평양 소아소화기영양학회와 북미 소아소화기영양학회 심포지엄 등 세계적 학술 행사에서 연구 성과를 발표하고 있다. 2023년에는 아태소아소화기영양학회에서 염증성 장질환 위원회장으로 지명되며, 글로벌 연구 네트워크를 강화한 바 있다.
최태원 기자 peaceful1@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