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적인 금리 인하기에도 불구하고 카카오뱅크 가 1분기 역대 최대 규모인 1374억원의 순이익을 달성했다. 이자수익 및 순이자마진(NIM)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고객기반 확대와 사업 포트폴리오 다변화가 수익성을 견인했다. 중·저신용자 대출 잔액 비중도 32.8%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며 포용금융 실천도 확대했다.
7일 카카오뱅크는 '2025년 1분기 경영실적 발표'를 통해 1분기 영업이익 1830억원, 당기순이익은 1374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대비 각각 23.3%, 23.6% 증가한 수준이다.
카카오뱅크의 1분기 영업수익 7845억원 중 이자수익은 5027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5058억원) 대비 0.6% 줄었다. 본격적인 금리 인하기에 접어들면서 시장 금리가 전반적으로 하락한 영향이다.
카카오뱅크의 1분기 말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42조160억원으로, 전년 동기(40조1910억원)보다 1조8250억원 늘었다. 이 중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13조510억원으로, 같은 기간 1조2680억원 증가했다. 반면 전·월세 대출 잔액은 지난해 1분기 12조4140억원에서 11조8070억원으로 6070억원 줄었다. 가계신용대출 잔액은 17조1580억원으로 1년 새 1조1640억원 늘었다.
카카오뱅크의 1분기 중·저신용자 대출 잔액 비중은 32.8%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카카오뱅크는 1분기에만 6000억원 규모의 중·저신용자대출을 공급했다고 밝혔다.
1분기 여신이자 수익을 제외한 비이자수익은 2818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2120억원) 대비 32.9% 증가한 수치다. 특히 대출 비교 서비스, 각종 투자 서비스 확대로 영업수익에서 이자 외 수익이 차지하는 비중은 35.9%까지 늘었다.
수수료·플랫폼 수익은 전년 동기 대비 8.8% 늘어난 776억원을 기록했다. 투자금융자산 손익은 1648억원으로 집계됐다.
고객기반도 꾸준히 늘고 있다. 카카오뱅크의 1분기 말 기준 고객수는 2545만명으로, 1분기 만에 57만명이 유입됐다. 특히 40대가 70%에서 75%로, 50대는 47%에서 55%로 확대됐다. 월간 활성 이용자(MAU) 수는 1892만명을 기록했다.
고객기반 확대는 수신 성장도 견인했다. 카카오뱅크의 1분기 말 기준 수신잔액은 60조4000억원, 여신잔액은 44조3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카카오뱅크는 올해 AI 기술 적용 서비스인 'AI 검색'·'AI 금융계산기' 등을 선보이는 한편, 상반기 예정된 태국 '가상은행' 인가도 잘 준비하겠다는 방침이다.
카카오뱅크는 "압도적인 고객 트래픽을 토대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해 성장 동력을 강화하고 전 부문의 고른 균형 잡힌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며 "올해도 지속 가능한 성장을 바탕으로 포용금융을 확대하고 혁신적인 신규 서비스를 선보이는 등 고객에게 첫 번째로 선택받는 종합 금융 플랫폼으로 거듭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권재희 기자 jayful@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