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보호자 96%, 아이 입원 시 1인실 원해…"1인실 기준 완화해야"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소아병실기준 보호자 인식 조사
"교차감염과 사생활 침해 우려돼"

소아청소년병원에 내원한 환아의 보호자 10명 중 9명 이상이 1인실 입원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소아청소년병원의 1인실과 다인실 병실 기준을 완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보호자 96%, 아이 입원 시 1인실 원해…"1인실 기준 완화해야"
AD
원본보기 아이콘

대한소아청소년병원협회는 서울 용산구 서울드래곤시티 호텔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환아 보호자 소아청소년 병실 인식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대한소아청소년병원협회가 지난해 11월4일부터 지난달 24일까지 환아 보호자 285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환아 보호자 소아청소년 병실 인식 조사'에 따르면 어떤 병실을 선호하냐는 질문에 1인실이라고 답한 경우는 2743명으로 96%가량을 차지했다. 2인실을 포함한 다인실에 체크한 비율은 112건 4%에 불과했다.


1인실을 선호하는 이유로는 '다른 바이러스나 세균에 옮을 가능성(교차 감염)'이 1387명으로 49%에 달했다. '교차감염과 사생활 침해 등 모든 항목'이라고 답한 비율이 28%로 뒤를 이었다. 이어 '노출·소음·사생활침해·생활 마찰'이 22%, '공간의 비좁음'은 1% 순으로 나타났다.


다인실을 사용했을 때 느낀 점으로는 94%에 달하는 2686명이 '다른 감염병이 옮을까 불안하다'고 답했다. '다른 감염이 신경 쓰이지 않았다'와 '불편한 점이 없었다'는 각각 69명(2%)과 100명(4%)에 그쳤다.

감염 예방과 사생활 보호 등을 위해 소아청소년병원에도 분만병원의 1인실과 다인실 적용 기준인 8대2 비율을 적용해야 한다는 질문에도 96%에 달하는 2737명이 '예'라고 답했다. '아니오'는 118명으로 4%에 그쳤다. 현재 소아청소년병원의 적용 기준은 4대6이다.


이홍준 대한소아청소년병원협회 부회장(김포 아이제일병원장)은 "최근 몇년간 다양한 소아 감염 질환이 유행하면서 환아 보호자들의 병실 민원은 끊이지 않고 있다"며 "1인 병실이 부족한데도 막무가내로 1인 병실을 요구하는 사례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심지어 민원 해결 방법으로 환아 보호자의 요구를 들어주기 위해 다인실을 1인실화하거나 환아의 보호자가 형제끼리만 사용하게 하는 등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최용재 대한소아청소년병원협회 회장(의정부 튼튼어린이병원장)도 "여전히 어린이를 위한 의료 정책은 부재하거나 겉돌고 있다"며 "소아 환자 병실 기준 문제 등 소아 의료 정책의 대폭적인 개선과 발굴 등을 통해 인구 절벽 등의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태원 기자 peaceful1@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