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란 의식한 듯 10여분 만에 글 삭제
63대선 사전 투표 잠정 중단 촉구도
황교안 대통령 예비후보는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출마를 위해 총리직을 사퇴하는 것을 말렸다고 밝혔다.
황 예비후보는 2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글을 올려 "권한대행의 권한대행의 권한대행이라니"라며 "내 이럴 줄 알았다"고 탄식했다. 이는 한 전 총리가 출마를 위해 사퇴한 데 이어, 최상목 경제부총리도 사의를 표명하면서 이주호 교육부총리가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는 상황을 지적한 것이다. 황 예비후보는 "한덕수 대행에게 출마하지 말고, 끝까지 소임을 다하라고 신신당부했다"며 출마를 만류했음을 강조했다. 이어 "이 나라 어찌할꼬"라며 한 전 총리의 결정이 국가 혼란을 더욱 키웠다고 비판했다. 다만, 논란을 의식한 듯 황 예비후보는 해당 글을 올린 지 10여 분 만에 삭제했다.

황교안 전 국무총리가 11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7차 변론'에서 윤 대통령 변호인단으로 참석하고 있다. 2025.2.11. 강진형 기자
앞서 황교안 전 국무총리는 지난달 30일 한덕수 전 국무총리를 향해 "사전투표를 잠정 중단해 달라"고 요청하기도 했다. 황 전 총리는 이날 SK텔레콤 본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한 대행이 대통령 긴급명령권을 발동해 이번 대선에서 사전투표를 잠정 중단시키고 당일 투표로만 선거를 치러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황 전 총리는 헌법 제76조를 언급하며 "우리 헌법이 국가원수인 대통령에게 비상대권을 부여한 것"이라며 "예상치 못한 급박한 국가적 위기에 신속하게 대응하라는 국민의 명령"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얼마 전부터 중국인들이 위조 신분증을 만들어 사전투표에 나선다면 현행 사전투표 시스템으로 이들을 걸러낼 방법이 전혀 없다"고 지적했다. 특히 "사전투표소에 비치된 소위 '본인확인기'는 지문식별을 통해 본인인지 아닌지를 확인하는 기능은 전혀 없다는 사실을 이미 선관위가 자인했다"며 "본인 확인을 해주는 기능이 아니라 신분증과 지문을 스캔하는 기능만 있을 뿐"이라고 일침을 가했다.
그러면서 "사전투표 방식을 믿을 수 있겠냐"며 "어떻게 중복투표를 걸러낼 수 있겠냐"고 지적했다. 또 "선관위는 그동안 '선거 데이터는 내부망으로 운용되기 때문에 해킹이 절대로 불가능하다'라고 주장했다"며 "그런데 며칠 전 '선거통계 시스템에 사이버 공격이 있었다'라고 공표를 했다. 더 충격적인 것은 해킹 시도 후 선거통계 자료의 내용이 변경된 것이 확인됐다"고 주장했다.
방제일 기자 zeilism@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