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노동권·공공성 위해 7월 총파업"
한국노총 "노동이 중심되는 사회 대전환"
노동절을 맞아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 같은 노동단체들이 서울 도심에서 기념집회를 열었다.
민주노총은 1일 오후 2시30분 중구 숭례문 앞에서 '2025 세계 노동절대회'를 열고 노동권 보장과 사회 대개혁을 촉구했다. 봄비가 내리는 가운데 참가자들은 우산을 쓰거나 비옷을 입고 '내란세력 청산', '기본노동권 쟁취', '사회대개혁 실현하자' 등 문구가 적힌 팻말을 들어 올렸다.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은 "노동권과 공공성 쟁취를 위해 오는 7월 총파업을 조직하자"며 "최저임금 인상으로 저임금 노동자들을 보호하고, 노조법 개정으로 '노조 할 권리'를 쟁취하자"고 했다. 이어 "특수고용 플랫폼 노동자들이 노동자임을 확인받고, 비정규직과 중간착취가 없는 일터에서 안전하게 노동하는 세상을 만들어야 한다"며 "부자에게는 세금을, 서민에게는 복지를 두텁게 보장해 의료와 돌봄, 교육과 공적영역의 국가책임을 강화하자"고 했다.
앞서 민주노총 건설노조·공공운수노조 등 가맹 산별노조들은 숭례문이나 서울역 인근 등에서 사전대회를 한 뒤 본대회에 합류했다. 오후 3시께 본대회에는 주최 측 추산 3만명(경찰 비공식 추산 1만7000명)이 모였다. 집회 뒤 두 갈래로 나뉘어 광화문 북쪽 광장까지 행진했다.
한국노총도 이날 오후 2시 종로구 동십자각 일대에서 '세계노동절 한국노총 전국노동자대회'를 열었다. 오후 3시 기준 주최 측 추산 3만명(경찰 비공식 추산 1만명)이 참가했다.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은 대회사에서 "노동이 중심에 있는 사회 대전환을 위해 차기 정부와 담대한 대화에 나설 것이고, 과감하게 사회적 대화를 주도할 것"이라며 "윤석열 정부 3년 동안 각종 시행령을 악용해 편법으로 운영하던 노동 개악 제도들을 완전히 뜯어고칠 것"이라고 했다.
이후 한국노총은 총력투쟁을 결의하며 "모든 시민에게 적용되는 근로기준법, 초고령사회 대응을 위한 정년 연장, 장시간 노동 철폐를 위한 주4일제, 노조법 2·3조 개정과 단체협약 효력 확장을 통한 노동기본권 강화와 같은 개혁과제가 새 시대의 문턱을 넘지 못하고 좌절되는 것은 절대 용납할 수 없다"며 했다.

노동절인 1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 동십자각 앞에서 열린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 주최 '제135주년 세계노동절 전국노동자대회'에서 참석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 등 장애인단체들도 노동절을 맞아 집회에 나섰다. 이들은 오후 1시께 명동성당 앞에서 결의대회를 한 뒤 숭례문까지 행진해 민주노총 집회에 합류했다.
한편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11일간 단식농성을 한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는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그간 촉구해 온 '학교비정규직 저임금 구조 해결 노력'이 더불어민주당 대선 정책의 공식 과제로 채택되는 등 성과를 거뒀다며 단식투쟁을 종료한다고 밝혔다.
전영주 기자 ange@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그냥 가입 안 할게요" 1시간 설문에 녹취까지…잡음 끊임없는 금소법[금융혁신:성장을 설계하다]③](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32014290576491_1742448546.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