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관세전쟁 여파로 멈췄던 中 공장, 월마트·타깃서 일부 재개"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주문 재개 물량은 아직 불분명
코스트코, 샘스클럽 등은 아직 재개되지 않아

미국 대형 유통업체인 월마트와 타깃이 미·중 관세전쟁으로 몇 주간 중단했던 중국산 상품에 대한 주문을 일부 재개한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 CNN 방송은 29일(현지시간) 미국 유통업체에 제품을 공급하는 중국 내 공장 관계자들의 발언을 인용해 "월마트와 타깃이 관세와 관련한 불확실성으로 몇 주 전 중단했던 주문을 최근 부분적으로 재개했다"고 보도했다.

캘리포니아주 샌 레안드로에 있는 월마트 매장 전경. AFP 연합뉴스

캘리포니아주 샌 레안드로에 있는 월마트 매장 전경. AFP 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주문 재개 물량이 어느 정도 인지는 아직 불분명하다. 중국 안후이성에서 장난감 자동차 공장을 운영하는 한 대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 인하 가능성을 시사한 뒤 지난주 월마트의 주문이 재개됐다"고 CNN에 전했다.

그는 "미국 매장에 재고가 많지 않으며, 우리도 상황이 어떻게 전개되는지 지켜보고 있다. 우리 제품은 부가가치가 낮아 관세율이 30% 정도로 떨어지면 소비자들이 사기 쉬울 것"이라고 말했다.


또 올해 미국 고객사들이 대부분 할인을 요구하고 있어 동의할 수밖에 없었다고 덧붙였다. 그는 고객들이 보통 이 시기에 사전 주문을 넣는다고 설명했다. 연말 성수기를 앞두고 5월부터 10월까지 장난감을 많이 생산해 배송한다는 것이다.


매사추세츠주 웨스트우드의 타깃 매장 외부. AP연합뉴스

매사추세츠주 웨스트우드의 타깃 매장 외부. AP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월마트·타깃·홈디포 등 미국 소매업체 최고경영자(CEO)들은 지난 21일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 "관세전쟁이 지속되면 매장 진열대가 텅 비게 될 것"이라면서 2주 안에 공급망 혼란이 가시화될 것이라는 우려를 전달한 바 있다. 장난감과 저가 의류 등의 소비재가 가장 먼저 타격받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중국 저장성 동부에서 수영용품을 생산하는 업체 대표도 2주간 주문이 없었던 타깃에서 지난 28일 주문을 재개했다고 밝혔다. 그는 "두 달 후면 미국 매장 매대가 텅 비게 될 것"이라며 할인 요청을 거부했다고 말했다.


코스트코와 샘스클럽 등 다른 고객사의 주문은 아직 재개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CNN은 유통업체들이 부분적으로라도 거래를 재개하려는 것을 두고 관세전쟁으로 공급망에 차질이 생길 것을 우려해 미리 재고를 확보하려는 것으로 해석한다면서 이는 미국 소매업체뿐만 아니라 제품을 공급하는 중국 내 수천 개 공장의 생존에도 중요한 문제라고 전했다.


홍콩 신문 명보도 지난 26일 무역박람회에 참석한 도자기업체들을 인용해 월마트가 일부 중국업체에 주문을 재개했다고 보도했다. 한 업체는 "주문이 부분적으로 재개됐다"고 전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도 월마트가 미국의 관세정책으로 주문을 취소 또는 보류해왔던 중국 납품업체들에 선적 재개를 요청했다고 전날 보도했다.


중국 주재 미국 상공회의소의 마이클 하트 회장은 월마트를 직접 거명하지는 않은 채 주문 재개가 놀라운 일이 아니라고 말했다. 그는 "중국에서 기업들이 특정 품목과 제품을 관세 면제 목록에 올리는 것을 정부와 논의하고 있다"면서 "특히 제품이 국가에 중요하거나 다른 누구도 공급할 수 없는 것으로 간주되는 경우 더욱 그렇다"고 말했다.





김진선 기자 carol@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