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97곳 지정·점포 1만3천여개
전남대 후문 지정 이후 공실률 2배
상품권 가맹↓…지원사업 소수 그쳐
"상인회별 차이나…홍보 강화 예정"
최근 침체된 상권을 살리기 위한 '골목형 상점가'가 조건이 완화되면서 광주지역에서도 우후죽순 지정된 가운데 일부 상점가는 오히려 공실이 늘어나는 등 좀처럼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골목형 상점가의 가장 큰 혜택인 '온누리상품권' 가맹률이 저조하면서 추가적 지원 사업도 진행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상권별 특색을 살린다는 본래 취지와 달리 의미가 퇴색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29일 광주 5개 자치구에 따르면 이날 기준 광주 지역엔 97곳(점포 1만3,909개)의 골목형 상점가가 조성돼 있다. 자치구별로는 ▲북구 34곳 ▲광산구 32곳 ▲서구 17곳 ▲남구 13곳 ▲동구 1곳 등 순이다.
골목형 상점가는 각 자치구 조례에 따라 2,000㎡ 이내 면적에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15곳 이상 밀집한 구역일 경우 지정될 수 있다. 골목형 상점가에 지정되면 ▲온누리상품권 사용 가능 ▲중앙·지방정부 지원(공모)사업 신청 등 크게 2가지의 혜택이 있다.
이처럼 광주 대부분의 상권이 골목형 상점가로 지정되고 있지만, 소상공인의 폐업률은 오히려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 북구 전남대 후문 골목형 상점가는 지난 2020년 12월 지정됐다. 지정 직후 2021년 1분기 당시 전남대 중대형 상가 공실률은 24.48% 수준이었는데, 코로나19 등 여파로 인해 2023년 4분기 공실률은 48.7%에 달했다. 최근 3분기 공실률은 ▲2024년 3분기 35.14% ▲2024년 4분기 37.71% ▲2025년 1분기 38.05% 등 점점 오르는 추세면서 골목형 상점가의 효과가 좀처럼 찾기 힘든 상황이다.
소규모 상가 공실률도 2021년 1분기 10.28%에서 올해 1분기 19.72%로 2배 수준 증가했다. 전남대 후문에는 지난 2021년부터 중소벤처기업부 공모 등 3억1,250여만원을 투입해 마케팅 사업을 5개 지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점포의 경우 골목형 상점가 자체를 인지하지도 못했고, 지원 혜택에도 관심이 별다른 없다는 반응도 나왔다.
4년 동안 전남대 후문에서 무인 빨래방을 운영했다는 A씨는 "이 일대가 골목형 상점가라는 안내를 받은 적도 없고, 온누리 상품권을 사용하려면 본사의 지침이 우선이다"며 "옆 건물은 1년 동안 공실인 걸로 알고 있다. 코로나19 때 보다 더욱 힘든 상황이다"고 설명했다.
또 중앙·지방정부 지원 사업을 신청하기 위해선 등록 점포의 일정 수준이 온누리상품권 가맹점으로 등록돼야 하지만, 대부분 상점가가 이를 충족하지 못해 사업에 지원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광주 5개 자치구가 이날까지 골목형 상점가에 지원한 사업 등을 살펴보면 북구가 35개 사업(소요 예산 14억9,500여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그러나 광산구와 남구는 시장경영패키지 지원 사업 등 각 2개 사업에 그쳤으며, 동구와 서구는 아직 진행하지 않았다. 이같이 지원 사업이 저조한 데는 각 상점가 상인회별로 지원사업에 관심이 없을뿐더러, 온누리상품권 가맹률도 저조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한 골목형 상점가 상인회장은 "상점가에 고용원 없는 1인 점포가 많고, 하루 장사하기도 바빠 지원 사업엔 관심을 가질 수가 없는 게 현실이다"며 "온누리상품권이 가장 큰 혜택인데도, 일부 가맹점은 소득이 큰 차이가 없다는 등 여러 이유를 대고 가맹을 안 하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동구와 서구 관계자는 "작년에 골목형 상점가를 처음으로 등록했고, 앞으로 상점가별로 필요한 부분을 찾아 지원사업을 실시할 예정"이라고 해명했다.
이에 침체한 상권을 살리고 각 상권의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실시된 골목형 상점가가 본래 취지를 살릴 수 있도록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와 관련, 한 자치구 관계자는 "온누리상품권 가맹률이나 지원 사업 등은 각 상점가 상인회의 적극성에 따라 차이를 보이곤 있다"며 "신규 입점하는 점포를 포함해 시민들이 골목형 상점가를 알 수 있도록 홍보를 강화할 방침이다"고 말했다.
호남취재본부 민찬기 기자 coldair@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단독] "자식이 안 물려받는다는데"…이제 '남'에게도 기업 승계 가능해진다](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3022008325229068_1676849573.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