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1장에 15만원, VVIP만 연락 주세요"…유심대란에 황당 게시글까지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불안 심리 자극해 금전적 이득 노려
"이 상황에 너무한다" 누리꾼 비판

최근 SK텔레콤 유심(USIM) 정보 관리 서버 해킹 사건 이후 이를 악용한 사칭 범죄가 중고거래 플랫폼을 통해 확산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소비자의 불안 심리를 자극해 금전적 이득을 노리는 행위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28일 중고거래 플랫폼 당근마켓에는 "SKT 유심 1장 15만원"이라는 제목의 게시물이 올라와 논란이 일고 있다. 무엇보다 글쓴이가 자신을 SK텔레콤 판매점 관계자라고 밝혀 논란이 커진 가운데 "현재 해킹 사태로 유심 교환이 몰리고 있다"며 일반 판매점에서 확보한 유심 재고를 특별 최우대 고객(VVIP)에게 제공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그는 "업무처리 비용과 프리미엄이라 생각하면 된다. 일반인은 협상 불가"라며 구매를 유도했다.

최근 SK텔레콤 유심(USIM) 정보 관리 서버 해킹 사건 이후 이를 악용한 사칭 범죄가 중고거래 플랫폼을 통해 확산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소비자의 불안 심리를 자극해 금전적 이득을 노리는 행위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당근마켓

최근 SK텔레콤 유심(USIM) 정보 관리 서버 해킹 사건 이후 이를 악용한 사칭 범죄가 중고거래 플랫폼을 통해 확산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소비자의 불안 심리를 자극해 금전적 이득을 노리는 행위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당근마켓

AD
원본보기 아이콘

통신업계 관계자는 "유심은 실제 유통망에서 해당 가격대로 판매되는 경우가 전혀 없다"며, "이번 해킹 사고 이후 급증한 유심 수요를 노리고 누군가 SK텔레콤 판매점을 사칭해 중고거래 플랫폼에서 부당한 거래를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소비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논란이 확산하자 당근마켓 측은 해당 게시글에 대해 즉각 조치했다. 당근마켓 측은 "애플리케이션(앱) 내 모든 중고거래 영역에서 계속적, 반복적 이윤 추구를 목적으로 하는 전문 판매업자의 활동을 정책적으로 금지하고 있다"며 "게시글은 수 분 내에 삭제 처리가 완료됐으며, 이후 반복적으로 정책을 위반할 경우 영구 제재까지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누리꾼의 비판도 이어졌다. 해당 글을 본 누리꾼은 이번 유심 판매를 두고 통신사 대리점 일부 직원이 고객들의 불안 심리를 악용한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고 한 가운데 "지금 시국이 이런데, 이걸 이렇게 판다고?", "이 사태에 중고 거래로 이득을 취하려는 게 신기할 따름", "불안해하는 어르신들을 노린 것 같다"는 반응을 보였다.

유심 교체 대상만 2500만 명 공급 부족 우려에 2차 피해까지

SK텔레콤은 이날부터 유심 무료 교체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현재 약 100만 개의 유심 재고를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오는 5월 말까지 500만 개 추가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 하지만 SK텔레콤 가입자뿐 아니라 같은 망을 사용하는 알뜰폰 가입자까지 포함하면 대상 인원은 2500만 명에 달해, 공급 부족 우려가 제기된 상황이다. SK텔레콤에 따르면 유심 무료 교체 신청은 웹페이지나 T월드 홈페이지를 통해 가능하다. 휴대폰 본인 인증 절차를 거쳐 성명, 주민등록번호 앞자리, 보안 문자(CAPTCHA), 고객 전화번호 등을 확인한 뒤 신청할 수 있다.

SK텔레콤은 이날부터 유심 무료 교체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현재 약 100만 개의 유심 재고를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오는 5월 말까지 500만 개 추가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 아시아경제

SK텔레콤은 이날부터 유심 무료 교체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현재 약 100만 개의 유심 재고를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오는 5월 말까지 500만 개 추가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 아시아경제

원본보기 아이콘

이 가운데, 이번 유심 서버 해킹 사태를 악용한 피싱·스미싱 등 사이버 공격도 기승을 부리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27일 "최근 유심 무상 교체나 유심 보호 서비스를 사칭한 피싱 사이트가 발견되고 있다"며 사용자 주의를 당부했다. 실제로 이용자가 검색 엔진에 '유심 무상 교체', '유심 보호 서비스' 등의 키워드를 입력할 경우, 언론보도 일부를 발췌해 삽입한 허위 검색 결과가 노출되고, 이를 클릭하면 중간 비영리 도메인을 거쳐 도박 사이트 등으로 연결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검색 결과에 노출되는 사이트 주소가 공식 사이트와 일치하는지 반드시 확인하고, 출처가 불분명한 사이트 접속은 자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처럼 SK텔레콤 유심 서버 해킹 사건으로 인해 유심 교체 수요가 증가하는 가운데, 이를 틈 탄 중고거래 사칭 범죄와 온라인 피싱 공격이 확산하고 있다. 소비자는 공식 경로 외의 고가 유심 거래나 의심스러운 웹사이트 접근을 삼가고, 공식 안내 채널을 통해 정보 확인 및 유심 교환 절차를 진행해야 한다.




방제일 기자 zeilism@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