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3월 주택통계
지난달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이 2만5000가구를 넘어서며 11년8개월 만에 가장 많은 수준으로 집계됐다. 다 짓고도 주인을 찾지 못한 빈집이 많다는 뜻이다. 준공 후 미분양은 해당 사업자는 물론 기존 입주민에도 피해를 줘 '악성'으로 꼽힌다. 미분양 물량을 사들일 전용 리츠(REITs)가 이달 등록했지만 지방을 중심으로 번진 주택시장 침체를 당장 반전시키기는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국토교통부가 29일 발표한 3월 주택통계를 보면 지난달 말 전국 미분양 주택은 6만8920가구로 집계됐다. 한 달 전보다 1.6% 감소했다. 다만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2만5117가구로 같은 기간 5.9% 늘었다. 앞서 2013년 8월(2만6453가구) 이후 가장 많은 수준으로 집계됐다. 준공 후 미분양은 2023년 8월 이후 20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준공 후 미분양은 수도권이 4574가구로 전달과 엇비슷한 수준이다. 지방이 2만543가구로 한 달 전보다 7.1% 늘었다. 대구가 3252가구로 가장 많고 경남(3026가구), 경북(2715가구), 부산(2438가구) 등 영남권이 많고 증가세도 두드러진다. 제주(1605가구)나 전남(2392가구)도 미분양 물량이 많지만 증가추세는 멈췄다.
정부가 미분양 주택 해소 대책의 일환으로 지난해부터 추진했던 기업구조조정(CR) 리츠는 이달 처음으로 등록했다. JB자산운용이 등록한 리츠가 대구에 있는 미분양 아파트 288가구를 매입할 예정이다. 국토부에 따르면 앞으로 추가로 등록을 앞둔 리츠의 매입물량을 포함해 2000가구 가까이 사들일 예정이다. 이와 별개로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3000가구 매입을 목표로 사업자 등과 조율하고 있다. 예정대로 추진한다고 해도 전체 미분양 문제를 해소하긴 쉽지 않은 형국이다.
한편 지난달 주택 인허가는 3만1033가구로 한 달 전보다 148.2% 늘었다. 증가 폭이 두드러지긴 하나 주택시장 침체로 그간 물량이 꾸준히 감소추세였던 터라 기저효과로 풀이된다. 건설업종에서 인허가는 선행지표로 꼽히는데, 지난달 인허가 물량도 예년 평균치에는 못 미치는 수준이다. 지난달 주택 착공은 1만3774가구로 같은 기간 36.8% 증가했다.
아파트 등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하는 지난달 분양 물량은 8646가구로 전달보다 60.6% 증가했다. 마찬가지로 지난 2월 수도권 분양물량이 한 건도 없었던 탓에 증가율이 높지만 물량으로는 과거보다 적은 편이다. 지난달 준공 실적은 2만6124가구로 한 달 전보다 27.8% 감소했다.
지난달 주택 거래량은 6만7259건으로 한 달 전보다 32.7%,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7.3% 늘었다. 서울 아파트 거래가 9349건으로 같은 기간 두 배가량 늘어나는 등 증가세를 이끌었다. 서울 강남권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재지정 이슈가 불거지면서 거래가 크게 늘었다. 지난달 전·월세 거래량은 23만9044건으로 이 가운데 월세가 14만1531건으로 59.2%를 차지했다.
최대열 기자 dychoi@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단독] "3년 만에 복귀해 422억 또 사기 쳤다"…솜방망이 처벌에 보험사기 악순환](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42818333938573_1745832819.pn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