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미세먼지 흡입에 의한 면역계 영향 실마리 제공
환경과학 ‘Environment International’ 5월호 게재
동아대학교(총장 이해우)는 의약생명공학과 조완섭 교수와 김규리 박사과정생이 세계 최초로 초미세먼지 흡입 후 폐를 빠져나가는 경로와 기전을 규명했다고 28일 전했다.
조완섭 교수 연구팀은 한국연구재단 지원으로 수행한 연구에서 '초미세먼지가 2차 장기로 이동하는 현상과 기전'을 직접적으로 확인하는 성과를 거뒀다.
이번 연구가 실린 논문은 환경과학 분야 상위 6%에 해당하는 학술지 'Environment International(IF 10.3)' 5월호에 게재될 예정이며, 앞으로 초미세먼지의 흡입독성과 전신 면역계 영향과 관련된 연구 분야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인간은 매일 초미세먼지에 노출되고 있으며 특히 봄철 초미세먼지 농도는 다른 계절에 비해 매우 높고 꽃가루, 황사 등 미세먼지와 겹치는 계절이므로 호흡기 건강에 주의가 요구된다.
그동안 초미세먼지 흡입이 폐 염증을 유발하고 만성 호흡기 질환으로 진행될 수 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었으나, 2차 장기(심혈관계·뇌신경계·면역계 등) 영향에 대해서는 직접적인 초미세먼지의 이동을 확인하기 어려워 직접적인 질환의 연관성을 실험적으로 규명하기 어려웠다.
조완섭 교수팀은 이번 연구에서 초미세먼지가 폐에 침착될 때 뭉침 및 엉김 상태와 폐포대식세포에 탐식된 상태에서는 2차 장기로 이동이 제한되며 분산 형태로 있을 때 비로소 림프순환계와 전신순환계로 수월하게 이동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또 림프순환으로 이동한 초미세먼지는 폐 연관 림프절에 축적되고 전신순환으로 이동한 것은 간의 세망내피계에 축적되지 않고 자유롭게 통과한 뒤 비장의 '열린 혈관계(open circulation system)' 필터 구조에 축적된다는 것을 규명했다.
조완섭 교수는 "마우스를 이용한 흡입독성 연구'에서 초미세먼지를 단회로 노출했을 때 30일째에 유의미한 비장 내 초미세먼지 축적을 확인했다. 시험 종료일인 90일까지 농도가 지속, 비장 내 초미세먼지 축적은 반복 흡입노출에 의해 축적량이 많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비장 내 축적 부위는 열린 혈관계가 있는 '적색 수질(red pulp)' 부위이며 면역계의 핵심 장기인 비장에 기능적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 연구는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영남취재본부 조충현 기자 jchyoung@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