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여러 플랫폼 동시에 보는 멀티호밍 시대…콘텐츠 대가 산정 기준 바꿔야"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콘텐츠 확보 비용, 재전송료 부담, 광고 수익 감소
케이블TV 업계 삼중고
"중복 소비되는 콘텐츠는 낮은 단가 적용 필요"

"여러 플랫폼 동시에 보는 멀티호밍 시대…콘텐츠 대가 산정 기준 바꿔야"
AD
원본보기 아이콘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인터넷TV(IPTV), 케이블TV처럼 복수의 플랫폼을 동시에 이용하며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콘텐츠를 소비하는 멀티호밍 시대에는 콘텐츠 대가 산정 체계도 달라져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24일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에서 열린 미디어 스터디에서 한정훈 K-엔터테크허브 대표는 "주목할 점은 멀티호밍 시청자들이 OTT나 IPTV를 활용하면서도 여전히 케이블TV를 함께 시청하고 있다는 것"이라고 했다. 이는 실시간 뉴스, 재난방송, 생활밀착형 지역 정보 등 케이블TV만이 제공할 수 있는 콘텐츠의 공공적 특성과 지역성이 여전히 강력한 기능을 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 대표는 "그럼에도 국내 케이블TV 업계는 콘텐츠 확보 비용, 재전송료 부담, 광고 수익 감소라는 삼중의 압박을 받고 있다"고 했다. 가장 큰 문제는 콘텐츠 사용료 체계가 여전히 단일 플랫폼 유통환경을 전제로 설계돼 있어 멀티호밍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한 대표는 "각 플랫폼이 각각 대가를 내야하는 구조는 과도한 비용 부담을 초래해 결국 시청자 요금 인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해외는 '인크리멘털 프라이싱' 원칙을 도입했다. 콘텐츠의 독점 소비분에만 적정 대가를 매기고, 중복 소비에는 낮은 단가를 적용하는 방식이다. 지난 2023년 미국 디즈니와 차터 커뮤니케이션즈 간 협상 사례에서도 이 원칙이 적용됐다. 차터는 ' 디즈니 콘텐츠가 OTT 등 다양한 경로로 유통되고 있음을 이유로 기존 송출료가 부당하다'고 주장한 것이다. 이에 디즈니는 일부 콘텐츠를 별도 비용 없이 제공하는 조건으로 협상을 마무리했다.


한 대표는 "국내에서도 시청률, 광고 수익, 선호도 등을 기반으로 한 AI분석 시스템을 도입해 콘텐츠 대가를 합리적으로 산정하고, 정부는 이를 제도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심나영 기자 sny@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