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종·청라에 글로벌 문화 콘텐츠 제작 허브 조성
'공항경제권' 인천, K-콘텐츠 제작 거점 최적지
MBS 그룹 등 글로벌 기업 4곳 투자의향서 제출
제작비 환급·감세 등 투자 유인 인센티브 필요
"관세 전쟁 속에서 '국경 있는 사업'은 직격탄을 맞고 있어요. 그래서 콘텐츠 산업이 경쟁력이 있는 것입니다. FDI(외국인직접투자)를 이끌고 글로벌 시장을 흡수할 수 있는 '국경 없는 사업'이 바로 K콘텐츠 산업인거죠."
윤원석 인천경제자유구역청장은 아시아경제와 인터뷰에서 "우리나라는 수출 의존도가 높지만 제조업 수출에 어려움이 있고 미국의 관세 폭탄에도 직면해있다"면서 "새로운 경제 성장 방안을 찾아야 하는데, K팝·K드라마 같은 문화상품이야말로 가장 경쟁력 있으면서 관세 영향을 덜 받는 수출 상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인천경제청이 K콘텐츠의 생산과 소비, 관광 산업이 융합된 'K-콘 랜드(K-Con Land)'를 조성하는 데 사활을 걸고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K-콘 랜드는 인천경제자유구역(IFEZ)을 중심으로 영상·문화·관광 산업을 육성하고 콘텐츠를 생산·수출하는 복합클러스터를 조성하는 프로젝트다.
인천경제청은 사업 대상지로 인천국제공항과 가까운 영종·청라 일대 6곳을 놓고 특화 사업을 개발하는 마스터플랜 연구용역을 오는 6월 착수할 예정이다. 윤 청장은 "마스터플랜에는 로케이션 매니저 등 전문인력 양성이나 스튜디오 증설, 교통 통제 등 행정지원 체계까지 담을 것"이라며 "글로벌 문화 콘텐츠 제작 허브를 조성해 '아시아의 할리우드'를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그렇다면 K-콘텐츠 제작 거점이 왜 인천이어야 할까?. 윤 청장은 그 답을 '공항경제권'에서 찾고 있다. "해외 잠재 투자기업 입장에서 볼때 공항 인근 30분 거리의 입지 조건은 굉장히 매력적이죠. 여기에다 전력 공급망과 통신 네트워크 인프라를 집약할 수 있는 여건도 갖추고 있어요. 지금은 서울 상암이 K-콘텐츠를 제작하는 거점 역할을 하고 있지만, 스튜디오가 분산돼있고 공항에서 이동 시간도 길어 비효율적입니다. 국제공항과 인접한 인천 영종·청라에 할리우드처럼 집약적 콘텐츠 제작 방식과 전 세계 배급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입니다."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의 발달로 국제 공동제작 및 아시아권에 대한 투자와 촬영 수요가 높아지면서 K-콘 랜드 프로젝트에 대한 기대감도 더욱 커지고 있다. 실제로 올 초 글로벌 스튜디오 개발·운영 기업인 MBS 그룹 등 4개사가 투자의향서를 제출했으며, 특히 전 세계 600개 이상의 사운드 스테이지(촬영과 녹음이 동시에 이뤄질 수 있도록 설계된 스튜디오)를 보유한 MBS 측은 최근 청라를 찾아 사업대상지를 둘러봤다.
K-콘 랜드는 정부의 'K콘텐츠 글로벌 4대 강국 도약 전략'에 발맞춘 프로젝트다. 탄핵 정국 여파로 주춤하는 거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올 수밖에 없다. 윤 청장은 "문화콘텐츠는 상품 소비와 달리 높은 가격에도 불구하고 열정적인 팬덤을 기반으로 지속해서 소비가 이뤄진다. 더욱이 세계적으로 소비되고 있는 K콘텐츠 만큼 경쟁력있는 산업도 없다"면서 "미래먹거리인 K-콘 랜드를 어느 정부든 추진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다만 윤 청장은 정부가 영상·미디어 분야의 투자 환경 개선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주문했다. 그는 "콘텐츠 제작 경비가 1이라고 보면 지역경제 파급은 7~10배가 나온다. 선진국들이 파격적인 인센티브를 제안하면서까지 유치 경쟁을 벌이는 이유도 이때문"이라며 "해외 콘텐츠 제작사들이 국내 경제자유구역에서 투자할 때 세금 감면 등 인센티브를 많이 줘야 한다"고 했다.
2003년 기준 한국의 영상 제작 인센티브 예산(국·시비 포함)은 29억원에 불과하다. 선진국과 비교하면 제작비 환급이나 감세 등 투자를 유인할 인센티브가 부족해 대형 제작사의 투자유치에 걸림돌로 작용한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윤 청장은 "최근 아시아 경쟁국들 간에 영상 제작 지원을 확대하려는 움직임이 보인다. 특히 몽골의 경우 제작비 환급 명목으로 45%의 리베이트를 지급하겠다고 해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며 "경제자유구역법에 영상·문화산업과 관련한 특례조항을 추가해 인센티브 제공과 행정규제 완화 혜택을 확대할 수 있도록 적극 건의하겠다"고 말했다
박혜숙 기자 hsp0664@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