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내달 3일부터 차 부품 관세 부과
공급망 혼란·소비자 가격 상승 우려
미국의 자동차 업계가 22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한 자동차 부품 수입품에 대한 25% 관세 부과가 글로벌 자동차 공급망을 혼란에 빠뜨릴 수 있다며 이를 취소해달라고 요청했다.
미국의 주요 자동차 제조업체를 대표하는 '자동차혁신연합'(AAI)과 디트로이트 3대 자동차 제조사인 GM과 포드, 크라이슬러가 주축인 '자동차정책위원회'(AAPC), 전국자동차딜러협회(NADA) 등은 이날 서한에서 이같이 밝혔다고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
미 자동차업계는 내달 3일 예정된 외국산 자동차 부품에 대한 관세 부과가 미국 공장 폐쇄와 일자리 감소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들은 또 "자동차 부품에 대한 관세는 글로벌 자동차 공급망을 혼란에 빠트릴 것"이라고 했다. 이어 "소비자 자동차 가격 상승 및 딜러십 판매 감소와 차량 유지·수리비를 더욱 인상하고 예측 가능성을 낮추는 등의 도미노 효과를 일으킬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6일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미국으로 수입되는 외국산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에 25% 관세를 적용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자동차에 대한 관세는 지난 3일부터 부과됐고, 다음 달 3일 이전에 엔진, 변속기, 파워트레인 등 핵심 자동차 부품에도 관세가 적용된다. 이처럼 트럼프 대통령이 수입차에 부과한 25% 관세가 완화되지 않을 경우 올여름부터 미국 시장에서 자동차 판매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블룸버그통신은 지난 16일 미 포드자동차 등 주요 자동차 업체들이 다음달까지는 가격을 동결하겠지만 그 이후에는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독일 폭스바겐도 6월부터는 미국 내 판매가 상승이 있을 수 있다고 예고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4일 백악관 집무실에서 나이브 부켈레 엘살바도르 대통령과 회담하는 자리에서 일부 미국 자동차 업체에 대해 "그들은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생산되던 부품을 이곳(미국)에서 만들기 위해 (생산을) 전환하고 있다. 그러나 그들은 시간이 조금 (더) 필요하다"며 관세 유예 가능성을 내비쳤다.
김민영 기자 argus@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