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파월에 "당장 금리 내려라" 또 압박
안전자산인 美 국채·달러 동반 하락
무역 협상 진전도 지지부진
미국 뉴욕 증시의 3대 지수가 21일(현지시간) 일제히 하락세로 마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에게 즉각적인 금리 인하를 압박하는 등 연일 공세 수위를 높이며 투자심리를 짓눌렀다. 관세 정책 불확실성에, 통화정책 독립성 우려까지 겹치며 위험자산인 주식은 물론 안전자산인 국채와 달러까지 동반 하락하는 '셀 아메리카' 흐름이 가속화됐다.
이날 뉴욕 주식시장에서 블루칩 중심의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다우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971.82포인트(2.48%) 하락한 3만8170.41에 장을 마감했다. 대형주 중심의 S&P500지수는 124.5포인트(2.36%) 미끄러진 5158.2,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415.55포인트(2.55%) 급락한 1만5870.9에 거래를 마쳤다.
종목별로는 기술주가 크게 하락했다. 미 전기차 업체 테슬라는 5.96% 하락했고, 엔비디아는 4.51% 내렸다.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는 3.35% 미끄러졌다. 구글 모회사 알파벳과 마이크로소프트(MS)는 2.28%, 2.35%씩 하락했다. 중장비 제조업체 캐터필러는 2.77% 떨어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파월 의장을 재차 압박하며 통화정책 독립성에 대한 우려를 가중했다. 그는 이날 자신이 만든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 소셜에 "사실상 인플레이션은 발생하지 않고 있다"며 "주요 패배자인 미스터 투 레이트(Mr. Too Late·너무 늦은 남자)가 지금 당장 금리를 인하하지 않는다면 경제가 둔화될 수 있다"고 썼다. 지난 17일 금리 인하를 요구하며 "내가 그를 아웃(out)시키고 싶다면 그는 정말로 빨리 쫓겨날 것"이라고 해임을 언급한 뒤 나흘 만에 또 다시 파월 의장을 거세게 몰아붙였다. 트럼프 행정부는 파월 의장 해임을 검토하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18일 "트럼프 대통령과 그의 팀은 그 문제를 계속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연일 '파월 흔들기'에 나서자 시장은 낙폭을 확대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압박으로 Fed가 인플레이션 등 거시경제 변수에 적절히 대응할 수 없을 지 모른다는 우려가 투매로 이어졌다. 관세 충격으로 스태그플레이션(물가 상승 속 경기 둔화) 전망이 고개를 들면서 Fed는 향후 통화정책 경로를 놓고 딜레마에 놓인 상태다. 시장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거듭된 파월 의장 압박을 둘러싸고 관세발(發) 경기 침체를 막기 위해 금리 인하를 압박하는 한편, 경기 침체가 현실화 될 경우 파월 의장에게 책임을 돌리려는 계산이 깔렸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통화정책 독립성 침해 우려로 주식뿐 아니라 안전자산인 미 달러화와 국채에서도 투자자들이 이탈하고 있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 인덱스는 전거래일 보다 1.01% 하락한 98.13을 기록 중이다. 3년 만에 최저 수준이다.
미 국채는 장기물 중심으로 금리가 오르고 있다. 30년 만기 미 국채 금리는 전거래일 보다 11bp(1bp=0.01%포인트) 뛴 4.92%, 글로벌 채권 금리 벤치마크로 여겨지는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전일 대비 8bp 오른 4.4%에서 움직이는 중이다. 단기물인 2년 만기 미 국채 금리는 전일 보다 3bp 하락한 3.76%를 오가고 있다. 국채 금리는 가격과 반대로 움직인다. 장기물을 중심으로 한 국채 금리 상승은 투자자들이 만기가 긴 국채를 팔아치우고 있다는 의미다. 미 경제에 대한 중장기 전망과 신뢰가 흔들린다는 뜻으로 해석할 여지가 있다.
반면 안전자산인 금 수요가 확대되면서 금 선물 가격은 온스당 3400달러를 돌파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미국과 각국의 무역 협상 진전과 관련해 뚜렷한 징후도 나오지 않으면서 반등 재료도 찾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중국은 미국과 무역 협상에 나서는 국가들을 향해 중국을 희생시키는 대가로 관세 면제를 받아낼 경우 보복에 나설 것이라고 경고했다.
맥쿼리의 티에리 위즈먼 글로벌 외환·금리 전략가는 "달러에서의 (자금) 이탈은 Fed에 대한 독립성 우려가 확산되고, 워싱턴의 무역 협상 진전이 이뤄지지 않은 데 따른 것"이라며 "(Fed의 독립성 침해로) 미국 소비자 물가 상승 통제에 대한 의지가 약화되면서 금으로 자금이 이동하고, 미 국채 장기물 수익률이 뛰고 있다"고 분석했다.
페퍼스톤의 마이클 브라운 선임 리서치 전략가는 "파월 의장이 해임된다면 초기 반응은 금융 시장에 엄청난 변동성을 주입하는 일이 될 것"이라며 "상상 가능한 수준에서 가장 극적인 미국 자산 탈출 러시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Fed의 독립성이 명백히 위협받고 있을뿐 아니라 달러 약세, 미국 패권의 약화 가능성도 점차 현실화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뉴욕(미국)=권해영 특파원 roguehy@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