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美 기업 재고 비축 끝난다"…올여름 경기 둔화·인플레 폭탄 '째깍째깍'(종합)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오스턴 굴즈비 시카고 연은 총재
"기업 재고 비축 끝나는 여름 경제활동 둔화"
6월 이후 소비자물가 본격 상승 가능성

미국 기업들이 관세 정책 본격 발효에 대비해 2~3개월 물량의 재고를 비축하며 경기가 인위적으로 부양되고 있지만 이 같은 재고 축적 효과가 사라지면 올여름께 경제 활동이 둔화할 수 있다는 미 연방준비제도(Fed) 위원의 경고가 나왔다. 7월을 전후해 관세발(發) 인플레이션이 가시화될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AFP연합뉴스

AFP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오스턴 굴즈비 시카고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20일(현지시간) CBS '페이스 더 네이션'과의 인터뷰에서 "기업들이 재고를 비축하고 있고 이 같은 갑작스러운 구매 열풍은 인위적으로 높은 수준의 경제 활동을 유발할 수 있다"고 밝혔다.

"美 기업 재고 비축 끝난다"…올여름 경기 둔화·인플레 폭탄 '째깍째깍'(종합) 원본보기 아이콘

그는 "이런 종류의 선제적 구매는 (소비자보다) 기업 측에서 훨씬 두드러질 가능성이 높다"며 "불확실성이 커 기업들이 60일, 90일 동안 버틸 수 있는 재고를 선제적으로 비축하고 있다는 얘기를 많이 듣고 있다"고 말했다.


굴즈비 총재는 특히 자동차 부문에서 기업들이 수입 부품을 대량 비축하고 있다고 전했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수입 자동차와 부품에 25%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지난 2일 수입차 관세 발효에 이어 다음 달 3일 차 부품 관세 발효를 앞두고 기업들이 선제적으로 차 부품을 수입, 재고를 축적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특히 기업들은 미국이 총 145%의 관세를 부과한 중국에서 자동차 부품, 전자 부품, 고가 소비재 상당수를 수입하고 있어 상당한 타격이 예상된다. 미국은 모든 교역국에 기본관세 10%만 적용하고 국가별 상호관세는 90일간 유예했지만 중국에는 상호관세 125%와 펜타닐 관세 20%를 합쳐 총 145%의 관세를 매기고 있다. 스마트폰·PC 등 일부 전자제품에는 상호관세 적용을 면제했지만 다른 제품의 경우 중국에서 들여올 경우 125%의 고율 관세가 부과된다.

굴즈비 총재는 "90일 이후 (상호) 관세 재검토 시 그 규모가 얼마나 될지 알 수 없다"며 일시적인 경제 활동 상승세가 이어지다가 여름에 둔화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기업들이 관세 불확실성으로 수입품 사재기에 나서면서 올해 2월 미국 수입은 4011억달러로, 사상 최대 수입액을 기록했던 1월(4012억달러) 수준을 유지했다. 중국에서 제품을 수입하는 음료수 용기 업체 드래곤 글래스웨어도 6월까지 버틸 수 있는 재고를 확보했다. 기업들의 재고가 소진되면 가격 인상이 불가피한 구조다. 드래곤 글래스웨어의 맷 롤런스 최고경영자(CEO)는 미 경제 전문 방송 CNBC에 "145%의 대중 관세를 납부하면 소비자 가격을 최소 50% 인상해야 해 수요가 감소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시장은 올여름 경기 및 인플레이션 지표를 주목하고 있다. 관세 본격 발효 전 확보해 둔 재고가 떨어지면 기업들이 6월께부터 수입 물가 상승에 따른 원가 부담 확대로 소비자 가격 인상에 나설 수 있어서다. 미 자동차 시장조사 업체 콕스 오토모티브에 따르면 올해 3월 기준 미국 자동차 딜러들의 평균 재고량은 89일 치다. 6월이면 재고가 동이 난다.


토머스 바킨 리치먼드 연은 총재도 이달 초 언론 인터뷰에서 "대부분의 기업이 관세 시행 전 확보해 둔 30~60일 분량의 재고가 있어 4월보다 6월 가격(상승)을 얘기하게 되는 상황"이라며 "현시점에서 지표는 견고하지만 우리가 보는 일부 변화는 인플레이션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전년 대비 2.4%를 기록해 2월(2.8%)보다 큰 폭으로 둔화했다. 하지만 관세 정책으로 인플레이션이 재점화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한편 굴즈비 총재는 트럼프 대통령이 제롬 파월 Fed 의장 해임을 공개 거론한 것을 놓고 통화당국의 독립성 침해라고 비판했다. 그는 "경제학자들은 통화정책이 정치적 간섭으로부터 독립적이어야 한다는 데 사실상 만장일치 의견을 보이고 있다"며 "우리가 통화정책의 독립성이 의문시되는 환경으로 이동하지 않길 강력히 희망한다. 그건 Fed의 신뢰성을 약화시킨다"고 경고했다.





뉴욕(미국)=권해영 특파원 roguehy@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