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르포]발 모두 타버린 영돌이는 미동도 없었다…보상도, 갈 곳도 없는 동물들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경북 산불 그 후

기적적으로 구조된 고양이 '영돌이'
얼굴·발바닥에 새겨진 2~3도 화상

구조동물 100마리는 갈 곳이 없다
국가도, 주인도, 입양도 감감무소식

"동물 번식업을 제한하자"

지난 3일 경북 안동에서 구조된 고양이 '영돌이'. 산불 피해로 얼굴과 발바닥에 2~3도 화상을 입은 채 발견됐다. 사진은 지난 16일 치료를 받기 전 이동장 안에서 바깥을 바라보고 있는 모습. 사진=송승섭 기자

지난 3일 경북 안동에서 구조된 고양이 '영돌이'. 산불 피해로 얼굴과 발바닥에 2~3도 화상을 입은 채 발견됐다. 사진은 지난 16일 치료를 받기 전 이동장 안에서 바깥을 바라보고 있는 모습. 사진=송승섭 기자

AD
원본보기 아이콘
산불에 전부 타버린 발바닥…도망도 못 쳐

영돌이는 경북 안동 일대서 살던 고양이었다. 몇 살인지, 원래 이름이 뭐였는지, 어떤 성격이었는지 모르지만 적어도 다른 생명체처럼 활발히 돌아다녔을 테다.


영돌이가 처음 발견된 날은 지난 3일이다. 경북 의성에서 시작된 산불이 진화된 후 피해 동물을 수색하던 한 시민단체 활동가에 의해 극적으로 구조됐다. 당시 영돌이는 화마(火魔)에 무너진 슬레이트 판잣집 벽돌 위에 앉아있었다. 온몸이 까만 잿더미에 뒤덮인 채로. 눈여겨보지 않았다면 화재 현장의 잔해로 보일 만한 행색이었다.

지난 3일 경북 안동에서 발견한 고양이 영돌이를 구조하기 전 찍은 사진. 네 발바닥이 화상으로 벗겨지는 바람에 불길을 피하지 못했다. 사진=동물행동권 카라

지난 3일 경북 안동에서 발견한 고양이 영돌이를 구조하기 전 찍은 사진. 네 발바닥이 화상으로 벗겨지는 바람에 불길을 피하지 못했다. 사진=동물행동권 카라

원본보기 아이콘

영돌이를 발견한 활동가들은 구조를 위해 조심스럽게 다가갔다. 낯선 사람을 보고 도망갈 수 있어서다. 하지만 영돌이는 미동도 없었다. 산불로 네 발바닥이 모두 타버렸기 때문이다. 끔찍한 고통으로 더 움직일 수 없었기에, 영돌이는 손쉽게 구조됐다.

이후 고통스럽고 지난한 치료가 시작됐다. 영돌이는 현장에 있었던 수의사들로부터 응급진료를 받았고 시민단체 '동물권 행동 카라'에 의해 서울 마포구의 한 동물병원으로 이송됐다. 상태는 예상보다 좋지 않았다. 카라 소속 설윤지 수의사는 "신체마다 다르지만 대부분 2~3도 화상으로 굉장히 심각하다"면서 "피부 아래에 있는 진피층까지 탔다"고 설명했다.


진물 나오는 끔찍한 고통…영돌이는 소리를 못 낸다
지난 16일 경북 산불 피해 고양이 영돌이가 이동장 안에서 치료를 받기 위해 기다리고 있는 모습. 사진=송승섭 기자

지난 16일 경북 산불 피해 고양이 영돌이가 이동장 안에서 치료를 받기 위해 기다리고 있는 모습. 사진=송승섭 기자

원본보기 아이콘

지난 16일 서울 마포구의 카라 사무실에서 영돌이를 만났다. 이날은 영돌이가 파주에 있는 보호소인 '카라 더 봄 센터'로 옮겨지는 날이었다. 센터에는 자체 동물병원이 있기 때문에 집중 치료를 받을 수 있다. 영돌이의 얼굴은 여전히 화상으로 벗겨져 있었다. 양쪽 귀는 붉은 화상 자국이 드러나 있었고, 왼쪽 눈은 제대로 뜨지 못해 반쯤 감겨있었다. 걸을 수 없는 네 발은 붕대로 칭칭 묶여있었다.


사람이었다면 비명을 질러댈 만한 고통이지만 영돌이는 소리도 내지 않고 움직이지도 않았다. 치료받기 위해 들어간 이동장 안에서도, 서울에서 파주까지 2시간이 넘는 거리를 이동하는 중에도 영돌이는 죽음처럼 고요했다. 보호소에 도착해 이동장 문을 열었을 때도 마찬가지였다. 다른 고양이었다면 탈출구가 보이는 순간 뛰어나가려 했겠지만, 영돌이는 바깥세상에 등을 돌린 채 어두컴컴한 안쪽만 바라보고 있었다. 눈빛은 자포자기한 것처럼 허공을 향했다.

16일 경기도 파주에 있는 동물 보호소 카라 더 봄 센터에서 활동가들과 수의사가 치료를 위해 영돌이를 이동장에서 꺼내고 있는 모습. 사진=송승섭 기자

16일 경기도 파주에 있는 동물 보호소 카라 더 봄 센터에서 활동가들과 수의사가 치료를 위해 영돌이를 이동장에서 꺼내고 있는 모습. 사진=송승섭 기자

원본보기 아이콘

보호소에 도착하자마자 곧바로 치료가 시작됐다. 가장 심각한 발바닥 화상을 치료하기 위해 진찰대 위에 영돌이를 올리고 붕대를 벗기자 붉은 화상자국에서 진물이 흘러나왔다. 2차 감염 방지를 위해 소독약을 바르는 와중에도 영돌이는 침묵을 유지했다. 아파하는 것에도 지친 듯했다. 이런 치료를 못 해도 2~3개월은 더 견뎌야 하지만 완전한 회복은 어렵다. 흔히 '젤리'라고 말하는 고양이 발바닥의 육구는 아물 뿐 재생되지 않는다.


치료가 끝나도 갈 곳이 없다…방치된 구조동물 100마리

치료가 끝나도 문제다. 영돌이는 돌아갈 곳이 없다. 반려동물 인식 칩이 없어서 원래 주인을 찾는 게 불가능하다. 주인으로부터 연락이 오기를 기다려야 하지만 지금까지 아무런 소식이 없다. 실낱같은 입양 기회가 오기만 기다려야 한다.


영돌이처럼 이번 경북 산불로 피해를 보고 구조된 동물은 총 187마리다. 개와 고양이 등 반려동물이 대부분이다. 이중 원래 주인에게로 돌아간 동물은 10% 남짓이다. 주인을 찾아낼 수 있거나, 주인을 대신해 치료 중인 동물까지 제외하면 돌아갈 곳이 없는 동물은 100여마리다. 구조현장에 있었던 동물단체들이 주민들을 대상으로 보호 사실을 알리고 있지만 주인이 나타나지 않고 있다.


[르포]발 모두 타버린 영돌이는 미동도 없었다…보상도, 갈 곳도 없는 동물들 원본보기 아이콘

동물단체들이 돌아갈 장소를 분주히 찾고 있지만 여의찮다. 가장 좋은 방법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 소유의 보호소로 이동시킨 뒤 입양을 기다리는 것이다. 하지만 국가시설에 들어가려면 법적인 요건을 맞춰야 하는데 구조 반려동물의 입소는 쉽지 않다. 경북 지역 동물을 다른 지자체가 수용해줄지도 미지수다. 안락사는 원칙적으로 시행하지 않기 때문에 고려사항이 아니다.


결국 6개 동물단체가 각자 상황에 맞춰 구조 동물을 보호해야 한다. 문제는 수용 능력이다. 국내 민간 동물보호소는 대부분 과포화에 시달리고 있다. 카라 더 봄 센터의 경우 대지가 4022㎡로 200여마리의 동물을 보호할 수 있게끔 설계됐지만, 현재는 더 자리를 만들기 어렵다. 사람으로부터 버림받았거나, 학대받았거나, 이번과 같은 재해재난으로 다친 동물들이 지금까지 살고 있기 때문이다.


2022년 경북 울진 산불 때 구조됐던 '단비'. 목줄에 묶여 있었음에도 살아 남았다. 다만 1m 옆에 함께 묶여 있던 개는 화마를 피하지 못해 그대로 타 죽었다. 사진은 발견 당시 모습. 단비가 함께 묶여 있다 사망한 개를 바라보고 있다. 사진=동물 행동권 카라

2022년 경북 울진 산불 때 구조됐던 '단비'. 목줄에 묶여 있었음에도 살아 남았다. 다만 1m 옆에 함께 묶여 있던 개는 화마를 피하지 못해 그대로 타 죽었다. 사진은 발견 당시 모습. 단비가 함께 묶여 있다 사망한 개를 바라보고 있다. 사진=동물 행동권 카라

원본보기 아이콘

영돌이와 호우는 앞으로 어디서 살아야 할까? 입양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보호소에서 남은 생을 보낼 확률이 높다. 보호소 1층에서 만난 단비는 3년 전 경북 울진 산불 때 구조됐다. 목줄에 묶여 도망가지도 못했지만 다행히 목숨을 부지했다. 그러나 1m 옆에 함께 묶여 있던 개는 불길을 피하지 못했다. 자원봉사자들이 도착했을 때는 단비 옆에 시커멓게 타버린 사체로 놓여있었다.


화상 때문에 눈도 제대로 뜨지 못하던 단비는 이제 미소를 되찾았다. 낯선 사람이 이름을 불러도 곧잘 다가올 정도로 건강해졌다. 단비의 왼쪽 눈에 생긴 검은 원반만이 산불의 피해를 짐작게 하고 있다.


공장에서 사지 말고 입양합시다
지난 16일 경기도 파주시 카라 더 봄 센터에서 만난 단비 모습. 왼쪽 눈에 원반 형태의 그을린 자국이 있지만 단비는 미소를 되찾았다. 사진=송승섭 기자

지난 16일 경기도 파주시 카라 더 봄 센터에서 만난 단비 모습. 왼쪽 눈에 원반 형태의 그을린 자국이 있지만 단비는 미소를 되찾았다. 사진=송승섭 기자

원본보기 아이콘

매년 재난과 재해로 동물이 구조되는데, 정작 갈 곳이 없어 방치되는 악순환의 굴레를 어떻게 끊어내야 할까. 전문가들은 돈을 쓰거나 정책 하나를 바꾼다고 해결될 문제가 아니라고 지적한다.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화콘텐츠학과 교수이기도 한 김영환 카라 정책국장은 "한국은 돈을 주고 동물을 사기 쉽고, 동물을 버렸을 때 받는 페널티는 적은 편"이라면서 "인식 칩을 활성화하고, 동물 번식업은 제한하고, 입양이 일상화되도록 문화를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파주=송승섭 기자 tmdtjq8506@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