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연은 이코노미스트 출신
경기침체 가능성 65% 예상
애덤 포즌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PIIE) 소장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 정책으로 인해 미국 경제가 수십 년 만에 가장 큰 '스태그플레이션(경기침체 속 물가 상승)' 충격을 겪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17일(현지시간) 마켓워치에 따르면 포즌 소장은 이번 주 한 연설에서 "경기 침체가 있을 수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지만 어느 쪽이든 인플레이션으로 가고 있다"고 말했다. 경기 침체 가능성에 대해선 65%로 내다봤다.
포즌 소장은 1994~1997년 뉴욕 연방준비은행(연은) 이코노미스트, 2009~2012년 영국 중앙은행인 잉글랜드은행(BOE) 통화정책위원을 지낸 바 있다. 2013년 이후 PIIE 소장을 맡고 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여러 국가와 무역 협상을 타결하더라도 관세가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면서 관세가 인플레이션 압력을 높이고 경제를 둔화시킬 것이라며 이는 스태그플레이션의 원인이라고 짚었다.
포즌 소장은 공화당이 세금을 낮추고 규제를 완화하더라도 백악관에서 비롯된 불확실성 탓에 가계와 기업이 지출과 투자를 늘리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또 트럼프 대통령이 초래한 혼란이 핵심 상품과 서비스의 부족으로 이어져 가격이 오르고 인플레이션이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관세 피해 완화를 위해 미국 산업에 보조금을 지급하면 이러한 재정지출 증가가 인플레이션을 가중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포즌 소장은 'Fed 풋'에 대한 기대감도 배제했다. 그는 여전히 높은 인플레이션을 고려할 때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이미 금리를 너무 많이 인하했다면서 물가가 다시 상승하기 시작하면 Fed가 뒤처질 수 있다고 봤다.
또 Fed가 금리를 가파르고 빠르게 인상할 수밖에 없고, 이는 경제에 스트레스를 가중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민영 기자 argus@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단독] "3년 만에 복귀해 422억 또 사기 쳤다"…솜방망이 처벌에 보험사기 악순환](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42818333938573_1745832819.pn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