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범석 기재부 1차관 일자리TF 주재
"가용 정책 수단 적기 활용 위한 준비"
청년 일자리 사업 추진 현황도 점검
고용부 "산업부·중기부에 협조 요청"
김범석 기획재정부 1차관이 16일 "통상 환경과 밀접한 산업·지역 현장과 긴밀히 소통하는 한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고용위기지역 지정 등 가용한 정책 수단을 적기에 활용할 수 있도록 만반의 준비를 하겠다"고 말했다.
김 차관은 이날 관계부처 합동 일자리전담반(TF) 회의를 주재하며 이 같이 언급했다. 그는 "미국 상호·품목관세 부과와 중국의 대응 조치로 통상 환경이 한 치 앞을 예측할 수 없을 정도로 급변하고 있다"며 "제조업 등 수출 산업 중심으로 고용 부진 심화 우려가 커진 만큼 일자리전담반(TF) 중심으로 산업·지역 고용동향을 면밀히 점검할 것"이라고 했다.
이날 회의는 통상 리스크에 따른 고용 영향을 점검하고 향후 대응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열렸다. 청년 일자리와 직접일자리 사업 추진 상황 및 기업 고용애로 해소 핫라인 1분기 추진 성과 등을 점검하는 시간도 있었다.
이날 공개된 '주요 청년일자리 사업 추진현황 및 향후계획'을 통해 고용부는 재학과 구직, 재직 등 취업 단계별 6대 청년 일자리 사업을 선정해 집중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재학 단계에선 대학일자리+센터(청년고용올케어플랫폼 포함)와 미래내일 일경험 등을 두고 구직(쉬었음 포함) 단계에선 청년도전지원사업을, 재직 단계에선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을 지원하는 식이다.
미래내일 일경험 사업의 경우 최근 채용 시장에서 경력직 선호 현상이 두드러지는 것을 반영, 올해 일경험 지원 인원(5만8000명)을 지난해보다 1만명 늘렸다. 네이버와 카카오, 현대차 등 청년층 선호도가 높은 주요 기업 등의 신규 참여도 이끌었다. 일경험 이력을 취업 때 적극 활용하도록 수료증에 세부 직무를 명시하는 등의 개선도 했다.
고용부는 내달까지 온·오프라인 플랫폼을 활용해 여러 지원 사업을 알리면서 청년 참여율을 높일 계획이다. 미취업 청년과 고립·은둔 청년 등 고용취약청년을 발굴하고 지원하기 위해 관계부처와 긴밀히 협업한다. 홍경의 고용부 청년고용정책관은 "일자리TF를 통해 지원 사업과 연계된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등에 협조 사항을 구체적으로 알릴 것"이라고 했다.
1분기 중앙부처 직접일자리 사업 채용 실적은 분기 기준 역대 최대인 110만8000명이다. 올해 채용 계획 인원은 총 123만9000명으로, 관계부처는 취약계층 고용 및 소득 안정을 뒷받침하기 위해 상반기 목표(120만명)를 초과 달성하도록 힘쓰기로 했다.
김 차관은 "고용애로 해소 핫라인이 원스톱 문제해결 플랫폼으로 자리잡도록 기업으로부터 상시 건의사항을 수렴하겠다"며 "내달 정례회의를 개최해 경제 6단체와 추가적인 제도 개선 과제를 논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기업이 일자리를 적극 창출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범정부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세종=김평화 기자 peace@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다이소에서 일해요" 왜 많나 봤더니…1만2500명 고용 일자리 큰손[천원템의 진화]](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3121315584487571_1702450724.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