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플란트 대안으로 기대 모아
치아와 유사한 기능 가진 '재생 치아'
임플란트나 충전재가 아닌 환자 본인의 세포로 만든 새로운 치아가 실제 구강에 이식될 가능성이 열렸다. 13일(현지시간) BBC는 영국 킹스칼리지 런던(KCL)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인간의 영구치를 실험실에서 배양하는 데 성공했다고 보도했다. 연구진은 이 기술이 치아 부분 파손 시 사용하는 충전재나 완전 상실 시 심는 임플란트의 대안으로 기대하고 있다.

임플란트나 충전재가 아닌 환자 본인의 세포로 만든 새로운 치아가 실제 구강에 이식될 가능성이 열렸다. 13일(현지시간) BBC는 영국 킹스칼리지 런던(KCL)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인간의 영구치를 실험실에서 배양하는 데 성공했다고 보도했다. 사진은 기사의 특정 내용과 관련 없음. 픽사베이
상어, 코끼리 등 치아가 계속 재생되는 일부 동물과 달리 인간은 평생 단 한 벌의 영구치를 갖는다. 이로 인해 충치나 잇몸 질환 등으로 기존 치아를 잃었을 때 현재는 임플란트나 충전재와 같은 인공치아로 이를 대체했다. 자연 치아는 잇몸인대라는 인체조직이 치아를 지지하지만, 임플란트는 잇몸뼈에 티타늄을 심어 인공 치아를 연결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임플란트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고정력이 약해지거나, 인체 거부 반응, 감염과 같은 장기적인 합병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러한 이유로 자연 치아와 유사한 기능과 구조를 가진 '재생 치아'를 개발하는 것은 치의학계의 숙원이었다.
숙원 해결을 위해 KCL 연구팀은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과 10년 이상 협력하며 해당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치아 발달 환경을 모방해 세포 간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특수 재료 개발로 치아 배양에 성공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환자 자신의 세포로 배양한 치아는 진짜 치아처럼 잇몸 조직과 결합해 실제 치아처럼 기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CL 구강악안면과학부 연구원 슈첸 장은 "기존 임플란트는 침습적인 수술이 필요하며, 임플란트와 치조골 간의 좋은 결합 등 조건이 필요하다"며 "실험실 배양 치아는 실제 치아처럼 뼈에 통합될 수 있다. 이는 더 강하고 오래 지속되며, 거부 반응의 위험이 없어 충전재나 임플란트보다 더 오래 사용할 수 있고 생물학적으로도 더 적합한 해결책을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남은 과제는 이러한 치아를 성공적으로 잇몸에 이식하는 것이다. 연구팀은 향후 두 가지 방식으로 이 기술을 실제 임상에 적용하는 방안을 모색 중이다. 사진은 기사의 특정 내용과 관련 없음. 픽사베이
원본보기 아이콘남은 과제는 이러한 치아를 성공적으로 잇몸에 이식하는 것이다. 연구팀은 향후 두 가지 방식으로 이 기술을 실제 임상에 적용하는 방안을 모색 중이다. 실험실에서 완전한 치아를 배양해 이식하거나 초기 단계 치아 세포를 환자 턱에 직접 이식해 구강 내에서 발달시키는 방법이다. 장 연구원은 "두 방식 모두 실험실에서 매우 초기 단계의 치아 발달 과정을 시작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KCL 재생치의학 책임자인 아나 안젤로바 볼포니 박사는 "이러한 혁신 기술은 치과 치료를 혁신하고 치아 수복 및 재생을 위한 지속 가능하고 효과적인 해결책을 제공할 잠재력이 있다"고 연구 의의를 밝혔다. 다만 실제 이 기술을 환자에게 적용하기까지는 시간이 더 필요하다. KCL 시어셔 오툴 박사는 "매우 흥미롭고 혁신적인 기술이지만 내 생애에는 상용화되지 않을 수도 있다"며, "다음 세대에는 적용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신중한 입장을 밝혔다.
방제일 기자 zeilism@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