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생활비 걱정에 샴푸, 세제도 안 사는 프랑스인들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프랑스 국민의 절반이 생활비 부족을 우려해 샴푸, 세제 등 기본적인 위생용품 소비까지 줄이며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욕실 이미지. 픽사베이

욕실 이미지. 픽사베이

AD
원본보기 아이콘

연합뉴스는 14일(현지시간) 여론조사기관 IFOP를 인용해 지난해 11월 14~20일 프랑스 성인 4003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 조사에서 전체 응답자의 49%가 한 달 생활비가 바닥날 것을 걱정한다고 응답했다고 보도했다. 조사에서 응답자의 41%는 빈곤 상태에 빠질 수 있다는 불안감을 드러냈다. 식량 구입을 위해 자선 단체에 의지해야 할 수도 있다고 답한 응답자도 21%에 달했다.

경제적 불안감은 위생용품 소비 감소로 이어졌다. 전체 응답자의 47%는 현재의 경제 상황이 위생용품 소비를 제한하거나 줄이도록 유도하고 있다고 답했으며, 17%는 식료품과 위생용품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상황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프랑스인들이 가장 많이 포기한 것은 단연 외모를 꾸미는데 필요한 제품으로 조사됐다. 이들은 주로 메이크업 제품(여성의 33%), 염색약(여성의 27%), 보습 제품(24%) 등을 포기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프랑스 여성 상당수는 화장(37%)이나 염색(36%)을 하지 않게 됐다고 답하기도 했다.


기본적인 위생용품을 포기하는 이들도 적지 않았다. 10명 중 1명이 기본적인 위생용품 구매를 중단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전체 응답자의 9%는 샴푸를 사지 않았고, 8%는 치약이나 샤워젤을 포기했다고 답했다.

소비 위축은 위생과 관련한 생활 습관에도 영향을 줬다. 응답자의 24%는 칫솔을 자주 교체하지 않기로 했으며, 15%는 원하는 만큼 자주 머리를 감지 않는다고 답했다. 세탁 습관도 달라졌다. 세탁 횟수를 줄이기 위해 옷을 더 오래 입는다고 답한 응답자가 32%에 달했고, 21%는 세제를 사용하지 않거나 세제량을 줄였다. 응답자의 22%는 화장실 휴지를 아껴 쓴다고도 했다.


IFOP은 "경제적 취약성과 위생 빈곤 지표가 작년보다 약간 개선되긴 했으나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지 못했다"며 "특히 위생 빈곤은 더는 한정된 취약 계층의 문제가 아니라 청년 등으로 확산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이런 위기가 구조화하는 걸 막기 위해 필수 제품에 대한 접근을 사회적 포용 수단으로 재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현정 기자 kimhj2023@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