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깅스, 합성섬유로 만들어져 화재 시 취약
조이는 옷 입고 오래 앉아있으면 정맥 문제도
신축성이 뛰어나 편하다는 이유로 여행객들이 즐겨 입는 레깅스가 비행기 탑승 시에는 절대적으로 피해야 할 의복이라는 전문가 조언이 나왔다.
9일(현지시간) 뉴욕포스트 등 복수의 매체는 항공 안전 전문가 크리스틴 네그로니의 발언을 인용해 이 같은 내용을 보도했다. 그는 "대부분의 레깅스는 합성 섬유로 만들어진다"며 "생존 가능한 항공 사고에서 가장 큰 위험은 화재이기 때문에 비행기에서 레깅스를 입으면 안 된다"고 설명했다. 비행기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몸에 꼭 끼는 신축성 있는 바지는 피부 위에서 녹거나 심각한 화상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이다.
화재 외에도 기내에서 레깅스 착용을 피해야 하는 이유는 더 있다. 레깅스와 같이 몸을 조이는 옷을 입고 똑바로 오랜 시간 앉아 있으면 결국 정맥에 혈액이 고이게 돼 후에 정맥류와 같은 질환이 생길 수도 있다. 정맥 회복 센터의 혈관 외과 의사인 피터 J. 파파스 박사는 "너무 꽉 끼는 옷을 입으면 구획 증후군이나 대퇴 감각 이상증과 같은 질환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감각 마비, 따끔거림, 심한 다리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 경련이나 부기 등에 악영향을 미치는 모든 것을 피하기 위해서라도 비행기에서는 최대한 편안한 복장으로 있는 것이 좋다.
반바지와 짧은 치마도 비행기에서는 가급적 피해야 할 의복이다. 승무원 토미 시마토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영상에서 "좌석이 얼마나 깨끗한지 알 수 없지 않냐"며 "그나마 긴 바지를 입으면 세균에 덜 노출될 것"이라고 말했다. 비행기 탑승객이 바지를 입으면 세균이 가득한 좌석과 신체의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비행기 탑승객에게 신발에도 주의를 기울이라고 조언했다. 아메리칸 항공의 승무원 안드레아 피쉬바흐는 "안전상의 이유로 하이힐이나 슬리퍼, 샌들은 권장하지 않는다"며 "유사시 비행기에서 안전하게 탈출하기 위해 슬라이드를 타야 할 경우 하이힐을 벗어야 한다. 슬라이드가 펑크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네그로니는 특히 이륙과 착륙 시 승객들은 절대 신발을 벗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금까지 많은 항공사에서 이런 규정을 요구하고 있지 않지만, 나는 이 규정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면서 "비행기에서 탈출할 경우 바닥이 매우 뜨겁거나 차갑고, 기름에 뒤덮여 있거나 불이 났을 수도 있기 때문에 맨발로 다니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설명했다.
김현정 기자 khj27@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