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350만원→8170만원 '껑충'…대형마트 쉬는 날 전통시장 대신 '여기'로 몰렸다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전통시장을 보호하기 위해 2012년에 시행된 '대형마트 의무휴업제'가 10년을 넘겼지만 그 효과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중 대형마트가 의무적으로 휴업한 일요일 전통시장에서의 평균 식료품 구매액은 610만원으로, 대형마트가 영업하는 일요일의 구매액인 630만원보다 오히려 적었다.

유민희 한경연 연구위원은 "대형마트를 선호하는 소비자들은 대형마트가 문을 닫더라도 전통시장으로 발길을 돌리기보단 온라인 구매를 이용하거나 다른 날에 미리 구매하는 것을 선택한다"며 "대형마트와 전통시장은 경쟁관계가 아닌 보완적 유통채널의 성격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고 했다.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한경연, 연 130만건 소비자 구매 분석
대형마트 의무휴업제 10년 넘었지만 효과無
온라인 쇼핑 늘며 오프라인 유통업 동반 침체
해외는 소비환경 변화 따라 대형마트 규제 완화
"소비자·전통시장·대형마트 상생 정책 필요"

전통시장을 보호하기 위해 2012년에 시행된 '대형마트 의무휴업제'가 10년을 넘겼지만 그 효과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350만원→8170만원 '껑충'…대형마트 쉬는 날 전통시장 대신 '여기'로 몰렸다
AD
원본보기 아이콘


한국경제인협회는 산하기관인 한국경제연구원이 연 130만건의 소비자 구매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대형마트 휴업일에도 전통시장에서의 소비는 늘어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15일 밝혔다. 대형마트가 쉰다고 해서 소비자들이 반드시 전통시장을 찾지는 않았다는 것이다.


한경연은 농촌진흥청 소비자패널 자료를 이용해 대형마트와 전통시장, 온라인몰, 슈퍼마켓에서의 식료품 구매 데이터를 평일 의무휴업이 도입되기 전인 2022년을 기준으로 분석했다. 결과는 '대형마트 영업규제와 위기의 오프라인 유통업:해외사례·소비패턴 빅데이터 분석' 보고서에 담아서 내놨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중 대형마트가 의무적으로 휴업한 일요일 전통시장에서의 평균 식료품 구매액은 610만원으로, 대형마트가 영업하는 일요일의 구매액인 630만원보다 오히려 적었다. 유민희 한경연 연구위원은 "대형마트를 선호하는 소비자들은 대형마트가 문을 닫더라도 전통시장으로 발길을 돌리기보단 온라인 구매를 이용하거나 다른 날에 미리 구매하는 것을 선택한다"며 "대형마트와 전통시장은 경쟁관계가 아닌 보완적 유통채널의 성격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고 했다.


2015년과 2022년 대형마트 의무휴업일의 식료품 평균 구매액을 비교했을 땐 전통시장에서의 구매액이 55%(1370만원→610만원) 감소했고 온라인몰 구매액은 20배 이상(350만원→8170만원) 증가했다. 대형마트 이용 소비자들 대다수가 온라인몰로 옮겨간 것으로 풀이된다. 오프라인 유통업(대형마트·전통시장·슈퍼마켓)에서의 2022년 식료품 구매액도 2015년보다 모두 감소했다.


소비자 구매패턴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이동하며 대형마트의 판매지수도 줄었다. 2011년 1분기에는 114.2였지만, 지난해 4분기에는 92.0에 그쳤다. 반면 인터넷쇼핑 판매지수는 같은 기간 21.8에서 135.3으로 급증했다. 판매액도 인터넷쇼핑이 2020년을 기점으로 대형마트를 추월했다. 이에 따라 대형마트 3사의 매출과 영업이익은 지속적으로 줄었고 최근 10년 새 대형마트 52곳과 기업형슈퍼마켓(SSM) 202곳이 폐업하는 등 오프라인 유통업 전반의 침체가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대형마트의 의무휴업이 도리어 온라인 소비를 늘리고 대형마트를 쇠퇴의 길을 걷도록 만든 셈이다. 유 연구위원은 "인터넷 쇼핑이 대형마트를 대체하며 소비의 중심축이 온라인으로 이동하고 있는데, 대형마트에 대한 규제는 더 많은 소비자를 온라인 쇼핑으로 전환시켜 오프라인 유통시장의 위축을 가속화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보고서는 대형마트 의무휴업규제가 해외에서 보기 드문 특이 사례라는 점도 지적했다. 독일, 영국, 캐나다, 프랑스 등 일부 국가가 종교활동 보호를 목적으로 일요일 영업시간을 제한한 바는 있다. 규제가 있더라도 소비환경의 변화에 따라 최근 완화하는 경향을 보인다고 지적했다. 일본은 1973년 소규모 소매상 보호를 위해 대형마트 영업시간 규제를 시행했으나 소비자 불편과 유통업 불황으로 2000년 폐지했다. 대신 한경연은 디지털 기술 도입, 현대적 경영 기법 적용, 지역 커뮤니티와의 유기적 연결 등 전통시장의 경쟁력을 실질적으로 높일 수 있는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유 연구위원은 "의무휴업 정책의 효과가 미미하다면 과감하게 개선하거나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며 "온라인, 대형마트, 전통시장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유통 생태계 구축이 절실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김형민 기자 khm193@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