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플랫폼발 지각변동, 시장 흔들까
유통비용 상승·저마진 등 업계 문제
대안 떠오른 온라인 플랫폼
①누구를 위한 '유통공룡'인가
②온라인 플랫폼발 지각변동, 시장 흔들까
③"디지털 전환, 투명성 제고로 개혁해야"
극소수 업체의 시장 과점과 제조사-약국-병원 등이 얽히고설킨 의약품 유통 구조는 결과적으로 ▲유통 비용의 지속적인 증가 ▲유통업체의 난립 및 이에 따른 과당경쟁·리베이트 ▲고질적인 저마진 구조와 혁신의 부재 같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대표적인 문제가 바로 '마이너스 마진 낙찰'이다. 16일 제약 및 의약품 유통업계에 따르면 병원, 특히 대형 병원들이 의약품 공급 도매상을 선정할 때 입찰 방식을 채택하는데, 이 과정에서 도매상들은 경쟁적으로 가격을 낮추는 게 보통이다. 경쟁이 과열되면서 일부 도매상은 제조 원가보다 낮은 가격으로 약품을 공급하게 되는 상황까지 벌어진다.
한 도매업체 관계자는 "대형 병원과 거래를 유지하기 위해 손해를 감수하고 입찰에 나설 수밖에 없다"며 "수십~수천개 업체가 경쟁하다보니 저마진 구조가 고착화돼 의약품 유통 품질에 대한 투자는 등한시하는 구조"라고 말했다.
이런 구조는 결국 제약회사와 도매업체, 특히 중소 도매상들의 재무 상태를 악화시키고 있다. 이미 얇아진 마진율은 점점 더 하락하고 있고, 반대로 운송비용, 보관비용 등 유통 관련 비용은 매년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이런 구조를 바로잡는 일과 관련해 주목받는 게 제조사와 병원·약국을 잇는 온라인 플랫폼 기반의 유통 시스템이다. 지난 14일 찾아간 경기도 평택 소재 의약품 유통업체 블루엠텍을 일례로 들 수 있다. 연면적 1만608㎡, 지하 1층, 지상 4층 규모로 조성된 이곳에는 수십대의 의약품 배송 트럭들이 드나들고 있었다. 국내외 제조사에서 생산한 의약품들이 블루엠텍 물류창고로 들어오면 각각의 보관조건에 맞춰 냉동, 냉장, 정온 창고 등에 나눠져 보관됐다. 블루엠텍 물류센터는 영하 25℃로 관리되는 119㎡의 냉동창고와 15~25 ℃ 습도 60% 이하를 유지할 수 있는 3002㎡규모의 정온창고도 갖췄다.
이들 의약품은 주문을 접수받으면 전국 각지에 최소 수시간 내지 하루 만에 배송이 가능하다. '의약품 유통업계의 쿠팡' 격이다. 김준석 블루엠텍 부사장은 "주문수집부터 보관, 포장, 배송, 반품 등 모든 과정을 한 번에 통합한 온라인 기반의 시스템을 구축했다"며 "오프라인에 기반한기존 도매와 달리 영업, 수금업무가 디지털화돼 가격경쟁력을 확보하면서 사업확장이 가능했다"고 밝혔다.
블루엠텍이 운영하는, 제조사와 병원을 잇는 온라인 의약품 플랫폼 '블루팜코리아'에 가입한 병·의원은 약 2만9300곳이다. 이는 국내 전체 병·의원(약 3만 5000곳) 중 85.7%에 해당한다. 9만 종에 달하는 전문의약품, 의료소모품을 공급하고 있는데 최근 머크, 바이엘, 사노피 등 글로벌 기업과의 협업도 늘어나고 있다. 노보 노디스크의 비만치료제 삭센다, 위고비 유통비중이 커 시장의 주목을 받기도 했다. 블루엠텍 등 온라인 플랫폼 기업의 사업 확대는 의약품 유통 산업의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블루엠텍 외에도 한미약품의 HMP몰·바로팜 등의 온라인 플랫폼 제조사 또는 중소 도매업체들이 병원 및 약국을 온라인상에서 연결하는 유통 모델을 선보이고 있다.
기존 도매 업체들도 온라인 플랫폼으로의 전환을 꾀하고 있지만, 여전히 오프라인 조직을 중심으로 한 영업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런 신생 온라인 플랫폼의 등장은 기존의 복잡하고 비대했던 유통 과정을 생략하고 편리한 주문 시스템과 빠른 배송 속도를 자랑한다. 카드 포인트 적립, 자체 적립금 등 다양한 방식의 금융 혜택도 매력적이라 연령대가 젊은 약사를 중심으로 신생 온라인 플랫폼 유통이 확대되는 분위기다.
정동훈 기자 hoon2@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