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광진구, 상습 무단투기지역 집중관리 및 해소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주요 무단투기 구역 구·동 합동관리 추진...상습 무단투기 구간 시범선정 및 해소추진 선포(해소 시까지 민관 합동관리)

광진구, 상습 무단투기지역 집중관리 및 해소
AD
원본보기 아이콘

광진구(구청장 김경호)는 상습 무단투기 지역의 집중관리를 통해 무단투기지역을 해소하고 쾌적한 생활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겠다고 밝혔다.


일명 무공해(무단투기 공간 해소) 및 무사고(무단투기해소, 사후관리, 고운거리 조성) 사업으로 무단투기 쓰레기 수거에 그치지 않고 더 나아가 관리와 사후 유지까지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으로 추진한다. 구와 동에서 주도적으로 무단투기 근절을 추진하면서 주민 참여를 유도하여 깨끗한 환경을 조성하고 유지하는 것이 목표다.

우선 무단투기지역 집중관리를 위해 집중관리지역을 동별 5개소 총 75개소를 지정, 구와 동이 각 일 1회 이상 순찰을 실시하고 무단투기 해소 후 민 · 관 합동 관리에 주민참여를 유도한다. 또, 월 1회 집중관리지역 특별점검을 실시하는데, 4월부터 10월 사이 총 4번을 실시하고 최초 점검결과와 비교, 개선도 및 해소내역을 점검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상습 무단투기가 심한 구간 2개소(건대맛의거리, 중국음식문화거리 등)를 시범 선정, 청소과와 해당 동 주민센터가 함께 근절 선포식 실시 후 해당 구간 내 쓰레기를 수거 및 파봉하여 성상실시 및 분리배출 체험을 추진, 무단투기가 해소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추진한다.


더불어 주민 자율 감시단을 운영하여 무단투기 감시 취약시간(오전 7~9시, 오후 4시 이후)까지 집중관리 한다. 공식적으로 단속원과 공무관이 활동하지 않는 시간대에 주민이 자율적으로 무단투기 감시와 근절 캠페인을 추진하여 지속적인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리는 것인데 이를 통해 상습적으로 쓰레기를 무단 투기하려는 심리억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렇게 무단투기가 사라진 공간에 대한 사후관리도 철저하게 이루어질 예정이다.


무단투기 해소 지역의 경우 청소과와 동 주민센터, 주민이 함께 물청소 후 무단투기 해소 기념 홍보 표지판을 부착하여 청결 구역임을 지속적으로 알린다. 또 월 1회 이상 주민 자율청소 시 캠페인을 실시하도록 하여 다 같이 만든 고운 거리임을 알리고 일정 기간 포토존(찰칵정원)을 설치, 우리가 모두 만든 쾌적하고 아름다운 공간임을 인지하게 하여 더 무단투기로 이어지지 않도록 할 계획이다.





박종일 기자 dream@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