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전자제품 관세 면제 없다" 직접 등판한 트럼프…반도체 관세 부과 예고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애플 관세 특혜 논란에 트럼프 직접 해명
러트닉, 그리어도 '한시 조치' 설명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된 스마트폰, PC 등 전자제품에 다시 관세 부과를 강행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미 당국자들도 '이름표'만 다를 뿐 한 달여 뒤 전자제품에 다른 명목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란 입장을 잇달아 내놨다.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정책에서 후퇴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자 상호관세와 별개로 철강·알루미늄, 자동차에 이어 반도체 품목별 관세 부과 방침을 재확인, 관세 정책 불확실성을 둘러싼 경계감이 커지고 있다.


"전자제품 관세 면제 없다" 직접 등판한 트럼프…반도체 관세 부과 예고
AD
원본보기 아이콘


트럼프 대통령은 13일(현지시간) 자신이 만든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지난 금요일(4월11일) 관세 예외를 발표한 적이 없다"며 "이런 제품들은 기존 20% 펜타닐 관세 적용을 받고 있고, 단지 다른 관세 범주로 옮겨가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우리는 다가오는 국가안보 관세 조사에서 반도체, 전자제품 공급망 전체를 살펴볼 것"이라며 "우리는 미국에서 제품을 생산해야 하고 다른 나라들, 특히 미국민을 무시하기 위해 모든 걸 하는 중국과 같은 적대적인 무역 국가의 인질로 잡혀선 안 된다"고 주장했다.


앞서 미국 관세국경보호청(CBP)은 지난 11일 일부 전자제품을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한다고 공지했다. 9일 상호관세 전면 발효 및 국가별 관세 90일 유예 조치가 있은 지 이틀 만이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 노트북,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등 20개 전자제품은 미국이 각국에 부과한 상호관세 적용을 받지 않는다.


로이터연합뉴스

로이터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이를 놓고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일관성이 없고, 중국에 아이폰 생산기지를 둔 애플과 같은 대기업에 유리한 품목에 관세 예외를 주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특히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가 트럼프 대통령과의 두터운 친분을 바탕으로 이번 관세 면제를 받아냈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전자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 의지를 확인하고, 대(對)중국 관세 145% 중 펜타닐 관세 20%는 그대로 적용된다며 직접 진화하고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행정부 당국자들 역시 이날 잇달아 방송에 출연해 전자제품 상호관세 유예는 한시 조치라고 해명했다.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은 이날 ABC 방송 '디스 위크'와의 인터뷰에서 "이런 (전자)제품이 상호관세에서는 면제되지만 아마도 한두 달 안에 적용될 반도체 관세에는 포함된다"며 "영구적으로 면제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각국이 협상을 통해 없앨 수 있는 것도 아니다"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그동안 여러 차례 예고한 반도체 품목별 관세를 공식 발표한 뒤, 반도체가 탑재되는 전자제품에 다시 관세를 부과할 것이란 취지의 발언이다.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 역시 이날 CBS 방송의 '페이스 더 네이션'에 출연해 "리쇼어링(해외 진출 기업의 국내 복귀)을 위한 관세가 부과되지 않는다는 것이 아니고, (전자제품에) 단지 다른 체계가 적용되는 것"이라며 "관세 부과 대상에서 잠재적 관세 부과 대상으로 옮겨진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철강·알루미늄, 자동차에 이어 조만간 반도체 품목별 관세 부과를 강행한다는 방침이다. 그는 지난 12일 취재진과 만나 반도체 품목별 관세와 관련해 "월요일(14일)에 그 답을 주겠다"고 밝혔다. 이날엔 전자제품 관세 면제는 없다며 "다른 나라들이 우리에게 가한 불공정한 무역수지·비금전적 관세 장벽 때문에 누구도 봐주지 않겠다"고 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도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에 대한 무역확장법 232조 조사 결과를 곧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럼에도 일각에선 트럼프 대통령이 초강경 관세 정책에서 한발 물러섰다는 평가가 나온다. 전 세계를 상대로 한 전방위적 관세 공격으로 미 주식과 국채 투매가 속출하고 인플레이션, 경기 침체 우려로 미국 내 비판 여론이 확산되자 관세 정책 수위를 낮췄다는 해석이 우세하다. 전자제품 상호관세 면제 조치를 두고도 결과적으로 중국과의 관세 전쟁에서 첫 완화 조치를 내놨다는 분석이다. 랜드 차이나 리서치 센터에 따르면 전자제품 상호관세 면제 조치로 영향을 받는 제품 총 3900억달러 가운데 4분의 1인 1010억달러가 중국산이다.





뉴욕(미국)=권해영 특파원 roguehy@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