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호미로 땅 파고 철근 10㎝씩 절단…'광명 사고' 20대 극적 구조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119특수대응단, 추가붕괴 위험 속 사투
굴착기 기사, 13시간 만에 외상 없이 생환

경기 광명시 신안산선 복선전철 지하터널 공사 붕괴 사고로 지하에 고립됐던 20대 근로자가 13시간여 만에 극적으로 생환한 데는 특수대응단 구조대원들의 필사적인 노력이 있었다는 뒷이야기가 전해졌다.


12일 연합뉴스는 소방 당국을 인용해 전날 오후 3시13분쯤 발생한 붕괴 사고로 지하 30여m 지점에 고립돼 있다가 밤샘 구조 작업을 통해 이날 오전 4시27분쯤 구조된 굴착기 기사 A씨의 구조기를 보도했다.

12일 오전 4시27분쯤 경기도 광명시 일직동 신안산선 지하터널 붕괴 사고 현장에서 고립됐던 20대 굴착기 기사가 사고 발생 13시간여만에 구조되고 있다. 광명시 제공, 연합뉴스

12일 오전 4시27분쯤 경기도 광명시 일직동 신안산선 지하터널 붕괴 사고 현장에서 고립됐던 20대 굴착기 기사가 사고 발생 13시간여만에 구조되고 있다. 광명시 제공, 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구조 당시 대형 크레인 와이어 줄에 매달려 경기도 특수대응단 대원과 함께 지상으로 나온 A씨는 몸에 별다른 외상은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그는 고립 초기부터 구조대원들과 전화 통화가 가능했을 정도로 의식이 명료했다. 하지만 토사 및 구조물 추가 붕괴 우려 속에 A씨를 지상으로 빼내는 작업은 만만치 않았다.


크레인으로 200㎏이 넘는 상판을 하나씩 들어 올린 뒤 땅 아래로 들어간 이준희 경기도 특수대응단 소방장과 조병주 소방위는 삽과 호미를 들고 조금씩 땅을 파내면서 A씨를 찾아 나섰다. 구조물 틈새를 통해 A씨가 착용한 하얀 헬멧을 찾은 대원들은 A씨 주변에 있는 철근을 10㎝씩 자르고 잔해물을 헤치며 땅속으로 더 깊이 들어갔다.


대원들은 6시간에 걸친 사투를 벌인 끝에야 A씨와 얼굴을 마주할 수 있었다. 발견 당시 A씨는 쪼그린 자세로 하체가 흙에 파묻힌 상태였다. 다행히 A씨 얼굴과 상체 주위에는 폐기물 등이 쌓여있어 호흡할 수 있는 공간이 있었다. 이 소방장 등은 오랜 시간 수분 섭취도 못 한 채 몸이 눌려있었던 A씨의 건강 상태를 고려해 초코우유에 빨대를 꽂아 마시게 했다.

붕괴 사고가 발생한 경기도 광명시 신안산선 지하터널 공사 현장에서 12일 구조대원들이 실종자를 찾고 있다. 연합뉴스

붕괴 사고가 발생한 경기도 광명시 신안산선 지하터널 공사 현장에서 12일 구조대원들이 실종자를 찾고 있다. 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구조 시간이 다소 지연되자 A씨는 대원들에게 "제가 살 수 있을까요. 구조해주세요"라며 불안감을 드러냈고, 대원들은 "몇살이냐. 어디 사느냐, 여자친구가 있느냐" 등의 일상적인 대화를 이어가며 그를 안심시켰다. 이후 지상으로 무사히 구출된 A씨는 대원들에게 연신 감사 인사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소방장은 "사고 현장에 설치된 상황실에서는 A씨가 구출되자 그의 부모님이 아들의 이름을 크게 불렀다고 하는데 이 모습을 본 대원들도 울컥했다고 한다"며 "하루빨리 완쾌해 건강한 모습으로 다시 봤으면 한다"고 연합뉴스에 말했다. 또 "아직 포스코이앤씨 소속 50대 근로자 B씨의 생사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며 "구조대원들도 최선을 다하고 있으니 빨리 구조돼 가족의 품으로 돌아가셨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덧붙였다.


이 사고는 11일 오후 3시13분쯤 경기 광명시 일직동 양지사거리 부근 신안산선 제5-2공구에서 포스코이앤씨가 시공 중인 지하터널 공사 현장과 상부 도로가 무너지면서 발생했다. 경찰과 소방 당국은 B씨의 소재를 찾기 위해 휴대전화 위치 추적 등의 기법을 동원하고 있지만, 정확한 위치 파악이 안 되고 있다. 구조 당국은 이날 당시 B씨와 함께 근무한 근로자의 진술 등을 토대로 그가 컨테이너 안에 있을 것으로 보고 컨테이너 6개가량의 내부를 수색했으나 B씨를 발견하지 못했다.





김현정 기자 khj27@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