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부시, '2025년 인구정책 및 보육사업 시행계획' 수립 발표
아이가 행복한 의정부, 함께 키우는 든든한 양육·돌봄 환경 조성
촘촘한 지원 체계 구축…의정부시, 첫째아부터 출산장려금 지원
어린이집·가정양육의 마중물 역할…육아종합지원센터 기능 강화
경기 의정부시(시장 김동근)가 아이와 부모 모두가 행복한 도시를 만들기 위한 새로운 보육정책을 발표했다. 시는 '아이가 행복한 의정부, 함께 키우는 든든한 출산·보육'을 비전으로 '2025년 인구정책 및 보육사업 시행계획'을 수립하며 저출생 시대에 발맞춘 선제적 대응에 나섰다.
10일 의정부시에 따르면 2024년 12월 기준 의정부시의 영유아 수는 1만7811명으로 해마다 줄어들고 있지만, 맞벌이 가구의 증가와 가족 형태의 변화로 아이 돌봄에 대한 수요는 되레 높아지고 있다.
의정부시는 변화된 양육 환경에 대응해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보육을 핵심 전략으로 내세웠다.
시는 올해 출산장려금 확대, 의정부시육아종합지원센터 및 모두의 놀이터 확장·이전, 24시간 언제나 어린이집 운영, 공립어린이집 2개소 확충 등 주요 사업을 통해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보육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다.
의정부시는 지난 12월 '의정부시 출산장려금 지원 조례'를 일부 개정해 2025년 1월 1일 이후 출생한 첫째아부터 30만원의 출산장려금을 지원하고 있으며, 기존 둘째아 이상 자녀에게는 100만원을 지원하고 있다.
이와 함께 첫만남이용권 200~300만원, 부모급여 월 최대 100만원, 양육수당과 아동수당 월 10~20만원 등 다양한 제도를 통해 출산 장려와 아이 키우기 좋은 환경 조성에 힘쓰고 있다.
의정부시육아종합지원센터는 시의 보육 비전에 발맞춰 가정양육지원사업과 어린이집지원사업을 함께 추진하고 있다. 센터는 부모-자녀 체험, 언어·놀이 치료, 장난감·도서 대여는 물론, 보육교직원 대상 교육도 진행된다.
가정양육지원사업은 영유아의 전인적 발달을 지원하고,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를 완화하기 위해 ▲부모-자녀 체험 프로그램 ▲양육 상담 ▲언어·놀이 치료 ▲가족행사 ▲장난감·도서 대여 ▲부모교육 등을 운영하고 있다.
어린이집지원사업으로는 안정적인 어린이집 운영과 보육교직원 역량 강화를 위해 ▲대체교사 지원 ▲어린이집 컨설팅 ▲보육교직원 교육 ▲아동학대 예방 프로그램 등을 실시하고 있다.
센터는 지난해 10월 민락국민체육센터 1·2층으로 확장 이전해 육아지원시설과 체육시설의 유기적인 연계를 통해 보육과 체육이 융합된 거점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새롭게 조성된 공간에는 보육실, 다옴놀이터, 대강당, 소통이룸 등이 마련돼 있으며,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건강한 영유아, 신뢰받는 어린이집, 행복한 가정 실현에 기여하고 있다.
의정부시는 올해 '모두의 놀이터'를 3개소로 확대 운영한다. 특히 민락1호점에는 영어놀이실과 AR 체험 콘텐츠까지 마련돼, 아이들이 자연스럽게 영어와 친해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새롭게 문을 여는 롯데mom3호점은 공공-민간이 협력한 모델로, 경제적 부담 없이 실내에서 마음껏 뛰놀 수 있는 공간이다. 해당 시설은 롯데그룹 사회공헌 공모사업으로 조성됐으며, 사용 검사를 마친 후 5월 중 본격 운영에 들어갈 예정이다.
의정부시는 24시간 운영하는 '언제나 어린이집'을 지정해 긴급한 돌봄 상황이 발생할 경우 영유아를 언제든지 안심하고 맡길 수 있도록 긴급 보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용 대상은 생후 6개월 이상부터 7세 이하의 취학 전 영유아이며, 이용료는 시간당 3000원이다.
어린이집 재원 여부나 연령 제한, 이용 시간 등과 관계없이 긴급한 상황에서 유연하게 이용할 수 있어, 보육 사각지대 해소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의정부시는 믿고 맡길 수 있는 안전한 보육환경 조성을 위해 공립어린이집 보육교사 채용 시 인적성 검사를 실시하고, 이를 통해 교사의 자질을 검증한 후 채용하고 있다. 이를 위해 시는 지난 1월 23일 의정부시어린이집연합회 국공립분과, ㈜중앙교육 알짜닷컴과 업무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신축 아파트 2곳에는 공립어린이집이 새롭게 들어선다. 총 49개소로 확대되는 공립어린이집은 더 많은 아이에게 가까운 곳에서 공보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의정부시는 출산과 육아가 선택이 아닌, '함께하는 일상'이 되는 도시, 의정부시의 변화가 앞으로 더 많은 아이의 웃음으로 이어지길 기대하고 있다.
김동근 시장은 "의정부시는 저출생에 대응해 안심하고 아이를 키울 수 있는 출산·보육 환경 조성에 힘쓰고 있다"며 "부모는 더 안심하고, 교사는 더 보람 있으며, 아동은 더 행복한 돌봄 환경을 실현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의정부=이종구 기자 9155ing@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