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구글, GPT·딥시크 뛰어넘는 AI모델 '제미나이 2.5 플래시' 공개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구글클라우드 넥스트 2025
응답시간 줄여 연산비 절약
새 AI칩 ‘아이언우드’도 소개

구글이 오픈AI와 딥시크의 인공지능(AI) 모델보다 효율적인 성능을 내는 신규 AI 모델 '제미나이 2.5 플래시'를 공개했다. 제미나이 2.5 플래시는 제미나이 2.5 계열에서 나온 두 번째 모델이다. 구글이 지난달 공개한 '제미나이 2.5 프로(Pro)'보다 응답지연 시간을 줄이고 연산비용을 절약했다.


AFP연합뉴스

AFP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9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만달레이베이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구글 클라우드 넥스트 2025' 현장에서 순다르 피차이 구글 최고경영자(CEO)는 "제미나이 2.5 플래시를 사용하면 모델 추론의 정도를 제어하고, 예산과 성능의 균형을 맞출 수 있다"고 했다. 사용자가 입력한 질문이 얼마나 복잡하냐에 따라 처리 시간을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말한다. 간단한 요청에는 더 저렴한 비용만 들여 신속하게 답변을 내놓는 것이 특징이다.

토마스 쿠리안 구글클라우드 CEO는 "제미나이 2.5 플래시를 구글의 'AI 하이퍼컴퓨터' 환경에서 구동하면 오픈AI 'GPT-4o'의 2배, 딥시크 'R1'의 5배 이상의 가성비를 보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제미나이 2.5 플래시는 현재 AI 개발자 및 연구자를 위한 자사 플랫폼 '버텍스 AI'와 제미나이 애플리케이션에서 미리보기 버전을 사용할 수 있다.


구글이 올해 말 출시를 예고한 7세대 텐서처리장치(TPU) '아이언우드'. 6세대 대비 전력 성능이 2배 높고, 최대 컴퓨팅 용량도 5배 크다. 구글클라우드

구글이 올해 말 출시를 예고한 7세대 텐서처리장치(TPU) '아이언우드'. 6세대 대비 전력 성능이 2배 높고, 최대 컴퓨팅 용량도 5배 크다. 구글클라우드

원본보기 아이콘

구글은 이날 새로운 AI 칩인 '아이언우드'도 공개했다. 아이언우드는 추론에 특화한 7세대 텐서처리장치(TPU)로, 데이터 분석 및 딥러닝 전용 반도체를 말한다. 챗봇·코드·미디어 콘텐츠 생성 등 다양한 AI 처리 용량에 맞게 확장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아이언우드는 엔비디아에 대한 AI 가속기 의존도를 줄이려는 의도에서 개발됐다. 최근 AI 시장의 중심이 추론형 모델 중심으로 빠르게 옮겨가는 추세라 가성비를 앞세운 자체 칩으로 시장 장악에 나서겠다는 것이 구글의 목표다. 올해 말 구글클라우드 고객을 대상으로 출시한다.


아이언우드의 전력 효율성과 용량은 기존 모델과 비교해 대폭 개선됐다. 포드(Pod·TPU 모음)당 9000개 이상의 칩을 탑재해 42.5EFlops(엑사플롭스)의 연산능력을 갖췄다. 지난해 구글이 공개한 6세대 TPU '트릴리움'보다 전력 성능이 2배 높고, 최대 컴퓨팅 용량도 5배 크다. 198GB 대역폭의 고대역폭메모리(HBM)를 탑재해 데이터 전송 횟수도 줄였다.

구글은 이날 AI 및 클라우드 사업에서 협력 기업으로 삼성을 언급했다. 구글은 올해 상반기 출시하는 삼성의 가정용 AI 로봇 '볼리'에 생성형 AI 모델을 탑재할 예정이다.


구글, GPT·딥시크 뛰어넘는 AI모델 '제미나이 2.5 플래시' 공개 원본보기 아이콘




전영주 기자 ange@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