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수많은 유·무인도 있는데~" 김동일 보령시장, 두바이 '인공섬' 출장 논란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시민단체 "수많은 유·무인도 보유한 보령 인공섬 개발 이해할 수 없어"
이정근 시의원 "국가 세수 감소 속 대규모 개발 추진 무책임한 행정"

김동일 보령시장

김동일 보령시장

AD
원본보기 아이콘

김동일 충남 보령시장이 '인공섬' 벤치마킹을 위해 해외 출장을 떠난 것을 두고 지역사회에 비판 여론이 거세지고 있다.


보령시에 따르면 김 시장은 8일부터 12일까지 두바이로 인공섬 관련 선진지 견학을 위해 해외 출장을 갔다.

김 시장은 대천해수욕장 앞바다에 3만 평 규모의 인공섬을 조성해 리조트, 카지노, 해양 연구시설까지 갖춘 '해양 미래도시'를 만들겠다는 구상을 밝혀왔다.


그러나 이 계획은 아직 타당성 조사조차 완료되지 않은 상태다. 여론 수렴은커녕 시민들에게 제대로 된 설명도 없이 1조 5000억 원 규모의 민간 투자 유치를 기대하며 해외 출장을 강행한 것이다.


시 관계자는 해당 인공섬을 '기후변화 대응형 해양 도시'로 소개하며, 아랍에미리트 왕가 일행의 관심 표명을 언급했지만 이는 실질적인 투자 약속도 아닌 단순 관심 수준에 그친 것으로 알려졌다.

기후 변화와 조수 간만의 차를 활용한 '플랜트 기술' 구상도 아직 구체성이나 과학적 타당성 검증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보령의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수많은 유·무인도를 보유한 보령이 굳이 인공섬을 개발하겠다는 것은 이해할 수 없는 발상"이라며 "2024년 화상경마장 유치 논란으로 지역이 갈라졌던 상황을 잊은 것이냐"고 비판했다.


보령시의회 이정근 의원도 "해당 사업은 민자 사업이라고 하지만 상당한 보령시 행정력과 예산이 투입될 수밖에 없다"며 "국가 세수 감소로 지방교부금조차 2년 만에 1000억 원 가까이 삭감된 상황에서 대규모 개발을 추진하는 것은 무책임한 행정"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이 사업이 실현 가능성조차 의문이며 실현되더라도 보령시민에게 실질적인 이익이 돌아올지 의문"이라고 주장했다.


원산도 대명소노리조트, 오섬아일랜드 등 보령시의 대형 해양관광 프로젝트들도 재차 도마 위에 올랐다.


특히 (주)소노인터내셔널 측이 "사업 방향성에 대한 전면 재검토" 입장을 밝히며, 원산도 개발 구상이 백지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태다. 충남도와 보령시가 추진해 온 '한국형 카쿤' 구상 전반에 타격을 줄 수 있는 사안이다.


김태흠 충남지사도 최근 간부회의에서 오섬아일랜드 사업의 계획 누락을 지적하며 "행정력을 집중하라"고 주문한 상황에서 김 시장의 인공섬 구상은 시민들의 피로감과 불신만 키우고 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충청취재본부 이병렬 기자 lby4426@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