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시가 일제히 5%대 폭락 마감했다. 이는 과거 코로나19 팬데믹 사태가 터졌던 2020년 이후 가장 큰 낙폭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상호관세 발표에 중국도 맞대응에 나서는 등 불확실성이 커진 데다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까지 겹친 영향으로 풀이된다.

4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에 나스닥 지수가 표시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부과 발표의 여파로 미국 증시가 폭락했다. 2025.4.4 연합뉴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231.07포인트(-5.50%) 떨어진 3만8314.86에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도 전장보다 322.44포인트(-5.97%) 급락한 5074.08, 나스닥 종합지수는 962.82포인트(-5.82%) 내린 1만5587.79에 각각 거래를 마쳤다.
S&P 500 지수는 코로나19 공포가 본격적으로 덮쳤던 2020년 3월16일(-12%) 이후 5년 만에 일간 기준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나스닥 지수는 지난해 12월16일 고점 대비 20% 넘게 빠졌고, 특히 지난 3~4일 이틀 동안에만 11% 넘게 하락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일 주요 무역국가를 대상으로 상호관세를 발표한 뒤로 미 증시는 이틀 연속 최악의 폭락장을 나타냈다. 여기에 중국 정부가 보복성으로 모든 미국산 수입품에 34%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하면서 예고됐던 무역전쟁이 현실화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의 맞대응 조치를 비난하면서도 "내 정책은 절대 변하지 않는다"고 엄포를 놨다.
미국이 주요 무역국을 상대로 때린 관세는 결국 미국 경제에 인플레이션을 초래할 것으로 보인다. 이날 발표된 3월 고용지표가 시장 기대를 웃돌았으나, 관세 폭격으로 인한 침체 우려를 잠재우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시총 1위 애플과 인공지능(AI) 칩 대장주 엔비디아는 이날 각각 7.3% 급락했고,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테슬라는 10.5%나 떨어졌다. 페이스북 모회사인 메타플랫폼도 5% 하락했다.
손선희 기자 sheeson@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