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자흐스탄, 희토류 노다지 '잭팟'
확인 시 매장량 규모서 중국·브라질 이어 3위로
중앙아시아 카자흐스탄에서 최대 추정량 2000만t 이상의 희토류 금속 매장지가 발견됐다.
3일(현지시간) 타스통신 등에 따르면 카자흐스탄 공업건설부는 전날 성명에서 자국 지질학자들이 중동부 카라간다주의 '자나 카자흐스탄'에서 네오디뮴, 세륨, 란타넘,이트륨 등 2000만t 이상의 희토류가 묻혀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매장지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공업건설부는 매장지가 발견된 곳은 카자흐스탄 수도 알마티에서 420㎞ 떨어진 자나 카자흐스탄 매장지라고 언급했다. 매장지에서는 네오디뮴, 세륨, 란타넘, 이트륨이 매장돼있는 것이 확인됐고 t당 함유 희토류량은 700g이라고 설명했다. 공업건설부에 따르면 현재 카자흐스탄에는 15개의 희토류 매장지가 있다. 공업건설부는 다만 매장지를 개발할 업체와 개발 착수 시기는 언급하지 않았다.
네오디뮴은 전기차 배터리, 풍력터빈, 스피커, 헤드폰등에 쓰이며 세륨은 자동차 배기가스 정화시스템 등의 촉매제 및 세라믹 광택제 등으로 사용된다. 란타넘은 카메라 렌즈와 망원경 렌즈 등 고급 유리 제조와 배터리 및 수소저장 시스템에도 활용된다. 이트륨은 레이저, LED, 고온초전도체와 금속의 강도를 높이는 합금 첨가제로도 사용된다.
카자흐스탄은 미국 지질조사국(USGS)의 희토류 매장국 명단에 포함돼 있지는 않다. 이번에 발견된 매장지 희토류량이 확인되면 카자흐스탄은 매장량 규모에서 중국과 브라질에 이어 3위를 차지하게 된다. 카자흐스탄은 각종 지하자원이 풍부하다. 앞서 공업건설부는 지난해 10월 자국이 미국과 유럽연합(EU)이 필요로 하는 거의 모든 핵심 원자재를 공급할 능력이 있다고 밝힌 바 있다. 공업건설부는 특히 카자흐스탄은 미국의 50개 핵심 원자재 중에서 21개, EU의 34개 핵심 원자재 가운데 19개를 공급할 수 있다고 말했다.
서지영 인턴기자 zo2zo2zo2@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우리도 그랬더라면 시장 폭삭 안 망했다"…한국 부러워한 세계인들[윤석열 파면]](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40412114297826_1743736301.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