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관세 美물가 1.5%P↑…구매력 영향
하루새 4500조 증발한 美증시
추가하락 가능성도 제기돼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상호관세를 발효한 이후인 3일 뉴욕증권거래소에서 직원들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이날 뉴욕증시 3대지수는 3~5% 이상 하락해 최근 5년래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UPI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상호관세 정책을 강행하면서 미국이 경기침체에 직면할 가능성이 커졌다는 경고가 월가에서 제기됐다. 특히 상호관세 발표 하루 만에 뉴욕 증시에서 3조1000억달러(약 4500조원)가 증발하면서 미 증시의 하락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이란 비관론도 나왔다.
3일 미국 블룸버그통신과 뉴스위크 등에 따르면 JP모건체이스의 마이클 페롤리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전날 투자자 노트에서 상호관세에 대해 "우리는 이번 조치로 인해 개인소비지출(PCE) 물가가 1~1.5%포인트 상승할 수 있다고 추정한다"고 밝혔다. 상호관세가 인플레이션(물가상승)에 미치는 영향은 연내 중반기(2~3분기)에 나타날 것이라고도 전했다.
그는 또 "이로 인해 구매력이 타격을 받게 되면 2~3분기 실질 가처분 소득이 마이너스로 전환할 수 있고 실질 소비 지출이 위축될 가능성도 있다"며 "이런 영향만으로도 경제가 경기침체 시나리오에 빠질 수 있다"고 짚었다. 중요 경제지표 중 하나인 실질 가처분 소득은 개인이 세금 등 의무제출을 제외하고 실제 소비나 저축에 사용할 수 있는 소득을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을 반영해 조정한 수치다.
JP모건에 따르면 발표 이전까지 미국 평균 실효 관세율은 약 10% 수준이었으나 상호관세 발효 이후 23% 이상으로 치솟았다. 이는 보호무역주의가 득세했던 1차 세계대전 발발 직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페롤리 이코노미스트는 "평균 실효 관세율은 더 올라갈 수 있다"며 미 백악관에 관세 발효를 예고한 반도체, 제약, 핵심 광물이 미칠 추가 영향을 주목했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은 3일 전용기에서 기자들에게 반도체 관세 부과와 관련해 "아주 곧(very soon) 시작될 것"이라고 말했다. 제약과 관련해선 "별개의 범주"라면서도 "가까운 미래에 발표할 것이며 현재 검토 중"이라고 했다.
UBS의 조너선 핑글 미국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상호관세 여파로 미국 경제가 2개 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나타내는 기술적 침체에 빠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경기 확장세는 이미 둔화하고 있었고, 재정지원은 약해지고 있었으며, 소비 강도도 축소되고 있었다"며 상호관세 발표 이전에 이미 미국 경제에 대한 신뢰가 약화 징후를 보이고 있었다고 진단했다.
일각에선 전일 유례없는 폭락을 기록한 뉴욕증시가 추가 하락을 이어갈 것이란 경고도 나왔다. 3일 뉴욕 증시의 주요 3대 지수는 모두 5년 만에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다. 3대 지수 중에서도 기술주 비중이 큰 나스닥지수는 5% 넘게 빠졌다. 전체 시가총액은 단 하루 새 3조1000억달러(약 4500조원)나 증발했다.
RBC캐피털마켓츠의 로리 칼바시나가 이끄는 주식전략팀은 상호관세 여파로 S&P500 지수가 4900∼5300으로 추가 하락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지난 2월 고점 대비 낙폭이 최대 20%에 이를 수 있다고 본 것이다. 그는 캐나다와 멕시코에 추가 조치가 부여되지 않은 점과 협상 여지가 남았다는 점은 희망적인 요인이라면서도 예외 조항의 부재와 최종 관세 수준에 대한 불확실성 지속, 경제 심리 악영향 등을 우려 요인으로 꼽았다.
차민영 기자 blooming@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