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원피스' 감독 "지브리 싸구려 취급당해"
"브랜드 가치 훼손…이런 게 왜 허용되나"
美 감독 "예술의 민주화? 자신 속이는 것"
최근 전 세계적으로 오픈AI의 생성형 인공지능(AI) 챗GPT를 활용해 사진을 '지브리 애니메이션 스타일'로 바꾸는 유행이 나타나자 유명 애니메이션 감독들이 분노를 표하고 있다. 일본 애니메이션 '원피스'의 감독인 이시타니 메구미는 지난 1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지브리의 이름을 더럽히다니, 절대 용서하지 않겠다"며 "법적 조치를 취하고 싶다. 지브리 애니메이션이 이렇게 싸구려 취급받는 것을 더 이상 보고 있을 수 없다"고 말했다.
이시타니는 그 다음 날에도 SNS에 "지브리 AI를 사용하는 일본인이 있느냐. 절망스럽다. 이건 지브리 브랜드의 가치를 훼손할 수 있는 행위"라며 "지브리 측이 공식적으로 허락했을 리가 없지 않으냐. 이런 허가 없는 이미지 사용이 왜 허용되는 거냐?"라고 물었다.
원피스, 나루토, 포켓몬 등을 작업한 미국의 애니메이션 감독 헨리 설로도 지난달 28일 SNS에 "AI 지브리 이미지를 만드는 사람들은 아티스트를 불쾌하고 화나게 하는 것 외에 정확히 무엇을 성취한다고 생각하는지 모르겠다"며 "이것은 수익성 있는 영화를 만들 수도 없고, 트롤링(남의 관심을 끌며 불쾌하게 하는 것)과 비슷하다"고 꼬집었다.
설로는 "이걸 예술의 민주화라고 말하는 사람은 자기 자신을 속이고 있는 것이고, 거짓말하는 것"이라며 "훌륭한 예술가나 감독이 되는 것이나 올림픽 선수가 되는 것을 민주화할 수는 없다. 평생의 노력이 필요한 건 절대 변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샘 올트먼 "GPU 녹아내린다"…5일간 100만명 늘어
오픈AI는 지난달 25일 신규 이미지 생성 AI 모델 '챗GPT-4o 이미지 제너레이션'을 출시했다.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는 자신의 엑스(X·옛 트위터) 프로필 사진을 지브리 스타일로 올려 화제를 모았다. 해당 모델은 오픈AI의 멀티모달 AI 모델 '챗GPT-4o'와 결합한 이미지 생성 모델로, 명령어를 하나하나 입력할 필요 없이 이용자의 의도를 파악해 이미지를 생성한다.
특히 지브리 스타일 AI 이미지를 프로필 사진으로 바꾸는 것이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면서 5일간 사용자 100만명이 늘어날 정도로 파급력이 거세다. 이에 올트먼 CEO는 "그래픽처리장치(GPU)가 녹아내리고 있다"는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다만 창작자의 권리 보호와 저작권에 대한 문제 제기가 나타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지난해 3월 'AI와 저작권에 대한 고찰' 보고서에서 "작풍, 화풍 같은 아이디어가 유사할 뿐 기존 저작물과의 직접적인 유사성이 인정되지 않는 생성물은 저작권 침해가 아니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그러나 해당 문구는 챗GPT를 통해 지브리 스튜디오와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그림체를 모방하는 것이 저작권 침해가 아니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어 일본 내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
오픈AI가 이미지 생성에 대한 규제를 대폭 완화한 것도 입길에 오르고 있다. 새 정책에 따라 챗GPT를 통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나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등 유명인의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 '아시아인의 눈'이나 '뚱뚱한 사람'처럼 차별적 요소가 담긴 이미지 생성이 가능해졌으며, 나치의 상징인 '하켄크로이츠' 등 혐오 상징물의 생성도 제한이 풀렸다.
김성욱 기자 abc123@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우리도 그랬더라면 시장 폭삭 안 망했다"…한국 부러워한 세계인들[윤석열 파면]](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40412114297826_1743736301.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