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행운 온다" 너도 나도 쓱쓱…동상 가슴 훼손에 칼 빼든 도시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해당 행동 막기 위해 동상 옆 전담 직원 배치
관광객의 행동에 일부 주민들 분통

아일랜드 더블린 시의회가 관광객으로 인해 가슴 부분이 변색한 '몰리 말론' 동상 옆에 전담 직원을 배치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관광객이 동상을 만지지 못하도록 할 방침이다. 3일(현지시간) BBC 등 현지 매체는 더블린 시의회가 한시적으로 몰리 말론 동상 옆에 직원을 배치, 관광객들이 동상에 접근하는 걸 막을 방침이라고 전했다.

아일랜드 더블린 시의회가 관광객으로 인해 가슴 부분이 변색한 '몰리 말론' 동상 옆에 전담 직원을 배치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관광객이 동상을 만지지 못하도록 할 방침이다. X(엑스)

아일랜드 더블린 시의회가 관광객으로 인해 가슴 부분이 변색한 '몰리 말론' 동상 옆에 전담 직원을 배치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관광객이 동상을 만지지 못하도록 할 방침이다. X(엑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더블린에 위치한 몰리 말론 동상은 '가슴을 만지면 행운이 찾아온다'는 속설의 주인공이다. 이에 관광객들이 여성 동상의 가슴을 수도 없이 만진 탓에 표면이 벗겨져 변색했다. 몰리 말론 동상은 1988년 세워졌다. 이후 동상은 속설 때문에 여행 필수 코스가 됐고, 많은 관광객이 동상의 가슴을 손으로 만지며 인증 사진을 남겼다. 여행 가이드 또한 관광객에게 동상의 가슴을 만지도록 안내하는 경우도 부지기수였다.


동상의 가슴 표면이 벗겨지기 시작하자 더블린 시민들은 분통을 터뜨렸다. 관광객의 행동에 대해 일부 주민은 "몰리 말론 동상을 모욕하는 것"이라며 비판을 제기하기도 했다. 더블린에서 버스킹 공연을 하는 틸리 크립웰은 동상의 사진을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공유하며 '몰리 말론 지키기' 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그는 "관광객들이 동상 가슴을 만지는 것은 역겨운 행동이고, 어린 세대에게 나쁜 본보기를 남기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틸리 크립웰은 "아일랜드의 상징이 그저 가슴으로만 인식되는 것은 잘못됐다"고 덧붙였다. 이에 더블린 시의회는 동상에 관광객 접근을 막는 기간 동안 변색한 표면을 복원하는 작업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앞서 지난해 이탈리아 북부 베로나에 있는 줄리엣 청동상 또한 비슷한 이유로 몸살을 앓은 바 있다. 이탈리아 북부 베로나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비극 '로미오와 줄리엣'의 배경이 된 도시로 이곳에 설치한 줄리엣 청동상의 오른쪽 가슴 부위에 관광객이 손길로 인해 큰 구멍이 생겨 논란이 일기도 했다.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비극 '로미오와 줄리엣' 배경 무대인 이탈리아 북부 베로나에 있는 줄리엣 청동상이 전 세계에서 찾아온 관광객 때문에 몸살을 앓고 있다. ANSA 통신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비극 '로미오와 줄리엣' 배경 무대인 이탈리아 북부 베로나에 있는 줄리엣 청동상이 전 세계에서 찾아온 관광객 때문에 몸살을 앓고 있다. ANSA 통신

원본보기 아이콘

당초 1972년에 만들어진 줄리엣 청동상의 원본도 가슴 부위에 구멍이 생겨 2014년 현재의 복제본으로 교체된 것이다. 원래 청동상은 수명이 50년 정도인데, 고작 10년 만에 똑같은 문제가 또 생긴 것이다. 가장 큰 이유는 관광객에게 퍼지는 소문 때문으로 보인다. 줄리엣 동상의 오른쪽 가슴을 만지면 운명적 사람과의 사랑이 이뤄진다는 설이 있다. 전 세계에서 몰려든 수많은 관광객이 이에 거침없이 손길을 건네며 닳아 버린 것으로 추정된다.





방제일 기자 zeilism@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