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사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현황
해외 오피스 투자 실패한 곳들 많아
국내 금융사들이 원금을 상환받지 못할 위기에 처한 해외 부동산 투자 규모가 2조6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이 4일 발표한 '금융회사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말 기준 국내 금융회사가 투자한 해외 단일 부동산 사업장은 총 34조3000억원 규모다. 이 중 7.71%인 2조6400억원에서 기한이익상실(EOD) 사유가 발생했다.
EOD는 채권자(금융기관)가 채무자에게 빌려준 대출금을 만기 전에 회수할 권리가 발생한 것을 의미한다. 투자금 손실이 더 커지는 것을 막기 위한 일종의 '손절매' 개념이다. EOD 발생 규모는 작년 3월 말 2조5000억원에서 6월 말 2조6100억원, 9월 말 2조6400억원으로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추세다.
금감원 관계자는 "금리가 내려가고 있음에도 미국 대선 전후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증대 등으로 해외 부동산 시장의 개선이 지연되고 있다"며 "특히 오피스 시장은 구조적 요인(유연근무 확산 등)과 맞물려 공실률이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등 불황이 지속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금융권의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잔액은 55조800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5000억원 감소했다. 업권별로 보면 보험 30조4000억원(54.3%), 은행 12조원(21.5%), 증권 7조7000억원(13.8%), 상호금융 3조6000억원(6.5%), 여전 2조원(3.6%), 저축은행 1000억원(0.2%) 등이다.
지역별로 보면 북미가 34조1000억원(61.1%)으로 가장 많고, 유럽 10조8000억원(19.4%), 아시아 3조8000억원(6.8%), 기타 및 복수지역 7조1000억원(12.7%)이었다.
금감원 관계자는 "금융사들이 오피스 투자자산을 중심으로 손실 확대 가능성이 높다"면서도 "투자규모가 크지 않고 손실흡수능력도 충분해 시스템리스크로 전이될 가능성은 낮다"고 밝혔다. 이어 "특이 동향이 발생했거나 위험 노출액이 크고 손실률이 높은 사업장 등을 중심으로 철저한 위험 관리가 이뤄지도록 지도하고 적정 손실 인식 등을 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창환 기자 goldfish@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우리도 그랬더라면 시장 폭삭 안 망했다"…한국 부러워한 세계인들[윤석열 파면]](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40412114297826_1743736301.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