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피로감·사회적 갈등에
가챠숍·티니핑·젤리캣 등
무해한 존재에 열광하는 시민들
최근 소위 핫플레이스로 불리는 거리를 점령한 것이 있다. 바로 가챠샵이다. 가챠샵의 ‘가챠’는 ‘찰캉찰캉’이라는 뜻의 일본어 ‘가챠가챠(ガチャガチャ)’에서 유래한 단어로, 캡슐토이를 뽑는 기계에 동전을 넣고 레버를 돌릴 때 철 부딪히는 소리가 나는 것을 표현한 이름이다. 한 손에 쥐어지는 캡슐 안에는 미니피규어·인형문구류 등 다양한 장난감이 담겨 있다. 예전으로 치면 문방구 앞에 있던 뽑기와 비슷하다. 당시 유행하던 뽑기 기계는 초등학생들이 주요 소비자였다면, 최근 유행하는 가챠샵의 주요 소비자는 20·30세대다.
가챠샵뿐만 아니다. 요즘 화제를 끄는 팝업스토어나 굿즈, 유행하는 아이템들을 보면 하나같이 예쁘고 앙증맞은 것들이 대부분이다. 요즘 소비자는 귀여운 것에 열광하고, 깜찍함에 지갑을 연다. 이처럼 작고, 귀엽고, 순수한 것들. 즉, 무해한 사물들이 힘을 갖는 현상을 무해력이라고 한다. 소비자들은 왜 무해함에 열광하는가. 귀엽고 작은 무해한 존재들은 어떻게 힘을 갖게 되는가. 무해력의 다양한 현상을 살펴보고 그 이유를 탐색해보자.
2030세대 사이에서 불고 있는 ‘캐치! 티니핑’ 열풍도 무해력의 반영으로 볼 수 있다. 4∼6세 아동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는 아동용 애니메이션 캐릭터들에 ‘어른이(어른+어린이)’들도 열광하기 시작한 것이다. 캐치! 티니핑에는 똑똑핑, 화나핑, 하츄핑, 포실핑 등 다양한 모습과 능력을 가진 요정 캐릭터들이 등장하는데, 그 종류만 100가지가 넘는다. 어린아이들 중에서는 티니핑 인형이나 완구를 모으길 좋아하는 경우도 많아 부모들 사이에서는 ‘파산핑’으로도 불리기도 했다. 너무 많은 완구를 사주다 보니 지갑이 가벼워졌다는 뜻이다. 그런데 지난해부터 2030세대를 중심으로 자신을 이 티니핑 캐릭터에 빗대어 ‘OO핑’이라고 지칭하는 현상이 ‘밈(meme)’으로 자리 잡았다. 절약하는 소비 습관을 자랑하는 이는 자신을 ‘절약핑’으로, 반대로 사고 싶은 명품을 사거나 한 경우에는 ‘탕진핑’ 등으로 부르는 식이다. 젊은 직장인들의 애환을 담은 ‘야근핑’ ‘출장핑’ ‘피곤핑’ 등도 있다.
무해력 트렌드를 타고 젤리캣도 제2의 전성기를 누리고 있다. 1999년 런던에서 문을 연 프리미엄 인형 브랜드 '젤리캣(jellycat)'은 부드럽고 예쁜 인형을 세계 77개국에 판매하는데, 독특하고 귀여운 디자인으로 유명하다. 예를 들면 그냥 동물인형이 아니라, 양서류·파충류·극지동물·곤충·공룡·농장동물·정글동물·신화동물·바다동물 등등 매우 다양한 종류의 인형을 완성도 높게 만들어낸다. 원래 한국에서 젤리캣은 영유아들의 애착인형으로 유명했지만, 최근에는 틱톡에서 언급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대 사용자들이 자신의 젤리캣 컬렉션을 공유하거나 젤리캣과 함께하는 일상 영상을 올리며 화제가 되고 있다. Z세대에게 젤리캣은 단순한 인형이 아닌 하나의 라이프스타일 아이템으로 자리 잡았다.
아이돌 덕질에도 봉제인형이 활용된다. 요즘에는 좋아하는 연예인의 외모를 본뜬 솜인형을 꾸미는 열풍으로 이어지고 있다. 단지 솜인형을 구매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아이템으로 그것을 꾸미고, 나아가 공동구매를 통해 인형옷과 소품을 제작하고 거래하기도 한다. 이러한 트렌드를 반영해 '아트박스'는 전국 70여 개 아트박스 매장에서 '소품공장' 판매코너를 운영하고 있는데, "어느 매장에 가면 어느 솜인형을 발견할 수 있다!"는 후기가 이어지는 등 폭발적인 반응을 얻었다.
이러한 현상은 왜 나타날까? 우선 높아진 디지털 피로도를 지적하고 싶다. 날마다 쏟아지듯 등장하는 각종 신기술은 익숙했던 생활과 결별하게 만든다. 각종 플랫폼과 디바이스마다 정보가 과도하게 넘치면서 지금 올바른 선택을 했는가에 대한 의심이 늘어만 간다. 매일매일 접하는 콘텐츠들은 깜짝 놀랄 만큼 자극적이다. 이 디지털 피로를 달래줄 저자극의 해 없는 물건과 콘텐츠에 눈길이 가는 것은 어쩌면 자연스러운 일이다.
더불어 나날이 한국 사회의 갈등 수위가 높아지고 있다는 점도 사람들이 무해한 존재를 찾는 이유다. 최근 신조어 중에 ‘긁힌다’는 표현이 있다. 타인에게 자신의 취향이나 생각을 부정당했거나 자존심이 상했을 때 "긁혔다"고 표현한다. 세대나 빈부의 격차가 이미 크게 악화한 상황에서, 고질적인 정치적 이념대립은 날이 갈수록 더 격심해지고 있다. 넓게 보면 한국 사회가 ‘긁힌 사회’가 되는 것이다. 어쩌면 긁힌 상처를 아물게 해 줄 무해한 그 무엇, 또는 긁어도 상처를 내지 않고 삶의 가려움을 가라앉혀 줄 그 무엇이 필요한 시대인지도 모른다.
한 사회의 구성원들이 열광하는 그 무엇은 역설적으로 그 공동체가 가장 결핍하고 있는 요소를 보여준다. 지금 한국 사회가 무해력에 빠져있다는 사실은 자극이 난무하고 서로를 향한 날이 서 있는 갈등의 시대에 나의 마음을 치유해주고, 내 생각을 정화해주는 존재에 대한 갈구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어쩌면 무해력은 단지 귀여운 디자인의 문제가 아니라, 이 어지러운 세상에서 살아남는 생존방식일지도 모르겠다.
최지혜 서울대학교 소비트렌드분석센터 연구위원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