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국내 중소기업 2곳 중 1곳 "중국 이커머스 활용 중이거나 활용 의사 있어"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중국 이커머스 활용 중" 29.7%
"추후 활용하겠다" 21.0%

국내 중소기업 가운데 중국 이커머스를 활용 중이거나 추후 활용 의사가 있는 기업이 절반을 넘어서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대다수 기업이 중국 이커머스의 국내 진출 확대에 따른 대응 전략을 수립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일 중소기업중앙회가 발표한 '중국 이커머스 국내 진출 확대에 대한 중소기업·소상공인 의견 조사' 결과에 따르면 중국 이커머스를 활용 중인 기업은 29.7%, '추후 활용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기업은 21.0%로 조사됐다. '활용 경험 및 향후 활용 계획도 없다'고 밝힌 기업은 49.3%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17일부터 21일까지 중소기업(제조업·유통업) 300개 사를 대상으로 실시된 것이다.

국내 중소기업 2곳 중 1곳 "중국 이커머스 활용 중이거나 활용 의사 있어"
AD
원본보기 아이콘

중국 이커머스 활용 방식으로는 '중국 이커머스에 입점해 국내 시장 점유율 확대'(65.2%)가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중국 이커머스에서 제품 구매 후 국내 재판매(병행수입)'(11.2%), '중국 이커머스를 통해 원자재 또는 부품 조달'(6.7%) 순이었다. 중국 이커머스의 국내 진출이 미친 영향에 대해서는 '긍정적'이라는 응답이 24.7%로 '부정적'(15.3%)보다 높았고 '변화 없음'은 60.0%로 나타났다.


긍정적 영향을 미친 이유로는 '국내외 온라인 판매 채널 다변화'(47.3%)가 가장 많았으며 '기존 유통망 대비 입점 수수료 절감'(16.2%), '비용 절감(원자재 조달, 물류 배송비 등)'(14.9%)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부정적 영향을 미친 이유는 '자사 제품 가격 경쟁력 저하로 소비자 이탈'(45.7%), '국내 기업의 브랜드 가치 하락(가품 등)'(19.6%), '무관세·무인증 등 역차별 피해'(17.4%), '마케팅 비용 증가'(8.7%) 등의 순이었다.

국내 중소기업 2곳 중 1곳 "중국 이커머스 활용 중이거나 활용 의사 있어" 원본보기 아이콘

중국 이커머스의 국내 진출 확대에 대한 대응 전략으로는 '특별한 대응 전략 없음'이 63.7%로 가장 많았다. '국내 이커머스 플랫폼 활용 확대'(10.3%), '차별화된 제품 개발'(9.0%), '가격 인하'(8.7%) 등도 있었다.


중국 이커머스 국내 진출에 대한 최우선 지원 정책으로는 '중국 이커머스 입점 업체 대상 인증·검사 강화'(34.7%)라고 답변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이외에 '국내 이커머스 입점 기업 지원(수수료 인하 등)'(32.3%), '해외 직구 제품의 통관 및 품질 검사 강화'(26.3%), '특허·상표권 등 지식재산권 침해 제재 강화'(23.0%), '물류비 지원 등 물류 경쟁력 강화'(21.7%) 등의 답변도 골고루 나왔다.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이번 조사 결과로 중국 이커머스가 중소기업에 새로운 위기이면서 기회가 되고 있음을 확인했다"며 "중국 이커머스의 국내 영향력이 점차 확대될 가능성을 고려할 때, 중소기업 피해 최소화를 위해 품질 인증과 검사, 지적재산권 보호를 선제적으로 강화하고 중소기업이 새로운 유통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이커머스 입점 지원과 물류비 지원 등 정책적 지원도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서희 기자 dawn@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